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아산 외암마을 후속

              마을 중요 민속자료 제 2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충남 아산 외암 민속마을은 약 500년 전부터

              부락이 형성되어 충청 고유격식인 반가의 고택과 초가돌담(총 5.3km), 정원이 보존되어

              있으며 다량의 민구와 민속품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가옥 주인의 관직명이나 출신지명을 따서

              참판댁, 병사댁, 감찰댁, 참봉댁, 종손댁, 송화댁, 영암댁, 신창댁 등의 택호가 정해져 있으며,

              마을 뒷산 설화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시냇물을 끌어들여 연못의 정원수나 방화수로 이용하고 있다

.             돌담장 길이가 500m나 되는 이끼 낀 돌담을 돌면 이 마을의 역사를 짐작할 수 있는데,

              돌담 너머로 집집마다 뜰안에 심어놓은 감나무, 살구나무, 밤나무, 은행나무 등이 들여다 보인다.
              전체 가구수가 60여 호인 외암리 민속마을에는 마을 입구의 장승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디딜방아, 초가지붕 등이 보존되어 있으며 주민들이 살고있는 집들은 대부분 초가집이고

             그외 기와집은 10여 채가 되는데 대개 100년~200년씩 되는 집들이다. 그 때문에 1988년 정부에서

              전통 건조물 보존지구로 전국에서 두번째로 지정되었다가 2000년 1월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로 지정 보존중이다. 외암리 민속마을 내 고택은 사유지로 본래 출입이 불가하지만 집 주인의

              양의를 얻어 관람할 수도 있다. 최근 이곳에는 사극이나 영화 촬영이 많아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오고 있다

.             특히 드라마 [덕이], [야인시대] 영화 [취화선], [태극기 휘날리며] 등이 촬영되었다

               백과사전에서

                                   지붕을보니 몇년전까지 사람이 살았던것 같은데 빈집으로 남아있다

                                                       

                                                             이집은 잠겨있어 밖에서만 바라봤다

                                                                             끝없이 이어지는 돌담길

 

 

 

 

 

                                                             교수댁 일부는 차집으로 운영하고있다

                                                  교수댁 뒤로 돌아가니 길가에 디딜방아가 놓여있다

                                마을뒤의 초가와 벼논이 있는데 논두렁을 용마루로 덥어놨는데 무슨연유에서일까?

                     비어있는 집들도 많은데 이렇게 또 새집을 지어서산다 아마 옛집을 얼고 지었나보다

                                                                              왼쪽이 건재이간 고택 담장

 

 

 

 

 

                                        이간과 건재고택은 문이 잠겨있어 담넘어로 보이는곳만 담았다

 

                                      감찰댁도 사람이 기거하기는 한데 아무도 보이지 않는다

 

                                                     * 문화유산
             1) 건재고택(영암군수댁)
            영암군수를 지낸 이상익(李相翼,1848~1897)이 살던 집이어서 '영암군수댁'이라고도 불리운다.

            이상익은 예안이씨의 18세손으로, 외암 이간은 이상익의 직계 5대조이다. 현재 집주인은

            이상익의 고손 이준경 씨이며, 그의 말에 의하면, 외암 이간이 태어난 곳도 바로 이 집터였다고 한다.

            건재고택은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는데 건재(建齎)는 이상익의 아들인 이욱렬(李郁烈)의 호이다.

            현재의 가옥이 완성된 것을 건재당 때라고 한다.
            2) 참판댁(큰댁)
            이조참판을 지낸 퇴호 이정렬(1865~1950)이 살던 집이라 '참판댁'이라는 택호를 갖게 되었다.

            이사종의 11세손인 이정렬은 할머니가 고종비인 명성황후의 이모이기 때문에 명성황후로부터

            각별한 은총을 받았다. 참판댁은 이정렬이 고종황제로부터 하사받아 지은 집이라. 고종황제가

            이정렬에게 하사해 '퇴호거사(退湖居士)'라는 사호를 영왕이 9세때 쓴 현판이 아직 남아 있다.
            3) 송화댁
            송화군수를 지낸 이장현(1779~1841)으로 인해 '송화댁' 이라는 택호가 붙여졌다. 이장현은

            이사종의 9세손으로 호사 초은(樵殷)이며 순조 10년 식년시에 진사가 되었다. 안채와 사랑채

            사이의 동편에 중문간을 두어 전체적으로는 건물과 건물사이가 조금씩 떨어진 튼 'ㅁ'자

            집을 하고 있다.
            4) 교수댁
            이 집은 이사종의 13세손인 이용구(1854~?)가 경학으로 성균관 교수를 지냈다고 하여 붙은

            택호이다. 원래 사랑채, 안채, 행랑채, 별채가 있었으나 다 없어지고 안채와 행랑채, 사당만

            남아있다. 사랑채가 없어지기는 했지만 이 집도 마을의 다른 집처럼 앞에 'ㅡ'자 모양의 사랑채를

            두고 뒤쪽에는 'ㄱ'자 모양의 안채를 둔 튼 'ㅁ'자 집이다.
             ) 병사댁,신창댁
            이 집은 홍경래난을 진압한 이용현(1783~1865)으로부터 유래한다. 이용현은 이사종의 9세손으로

            무과로 급제하여 총관, 경연특진관 등을 지냈다. 이용현은 6세손인 이창선까지 현재의 신창댁에

            살았으므로 전에는 이 집을 병사댁이라 불렀다. 그러나 현재는 그 후손이 서울로 이전하여

            외암리에서 병사댁 택호는 없어졌다.
             6) 참봉댁
             이사종의 12세손인 이중렬(1859~1891)과 그의 아들 이용후(1886~1955)부자가 참봉벼슬을

             지낸 연유로 얻은 택호이다. 특히 이중렬은 1891년의 증광시에서 진사에 급제했다.
            7) '외암 이간'의 묘소와 신도비
             외암 이간의 묘소는 외암마을의 서쪽 100여m떨어진 구릉에 서향으로 자리잡고있다.

             외암 이간은 1727년 윤 3월 14일에 별세하였고, 그 해 5월에 온양군 유곡에 장례를 치렀다가,

              1961년 3월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묘소주위는 소나무가 울창하게 잘 가꾸어져 있다.
              8) 반석과 석각
              반석은 외암마을의 입구에 있는 바위이다. 반석이 개천 바닥에 깔려있고 마을쪽으로

             '외암동천(巍岩洞天)'과 '동화수석(東華水石)'이라는 글을 새겨두었다. 동화수석 석각은

              높이 50cm, 너비 2m의 크기인데, 두께 50cm정도 되는 자연석에다 우측에서 좌측으로

              큰 글씨로 새겼으며, 그 우측에 기미(己未), 그리고 그 좌측에 이백선서(李伯善書)라고

              작은 글씨가 새겨져 있다.
              9) '열녀 안동권씨' 정려
               마을의 입구 다리를 건너기 전 좌측에 열녀 안동권씨 정려가 있다. 정려는 정면과 측면이

               각각 1칸으로 작은 규모이다.
             10) '외암 정사'(관선재,외암서원)와 강당사
               강당사는 원래 외암 이간이 강학을 하던 외암정사(巍巖精舍)였다.조선숙종 33년(1707)에

                세운 외암 정사는 추사 김정희가 쓴 (혹은 수암 권상하의 글씨라고도 함) '관선재(觀善栽)'라는

                편액 때문에 관선재로 더 잘 알려지게 되었다.
                11) 용추와 석각
                용추(龍湫)는 송악면 강당리의 안쪽, 멱시 아래 냇가에 있는 못이다. 이곳은 오늘날에도

                인근에 널리 알려진 피서지인데 예전에도 외암리의 선비들이 자주 찾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동구밖에는 그네가있어 관광온 아이들의 놀이터가 돼있다

 

                                                        사용하지는 않지만 물래방아를 이용한 쿵덕쿵 방아

 

 

 

 

 

 

 

 

 

 

 

 

                                                          여기서 이렇게 많은 영화 작품을 촬영했나보다

 

 

                                                                     조금 떨어진 곳에 있지만 이간선생 묘도 둘러봤다

                                                                                             배산임수의 명당터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 외암민속길9번길 13-2 (송악면)

                                       

I have a dream


'충청.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추사고택과 기념관  (0) 2016.10.20
맹씨행단과 추사고택  (0) 2016.10.15
현충사 기념관과 곡교천 은행나무  (0) 2016.09.28
이충무공 묘소와 현충사  (0) 2016.09.22
공세리 성당  (0) 2016.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