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한산모시 전시관

         한산모시는 우리나라의 미를 상징하는 여름 전통옷감입니다. 백제 때 한 노인의 현몽으로

         우연히 발견된 후부터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으니 1500년의 역사를 간직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역사적 가치가 높아 제작기술을 보호하고자 국가에서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산모시짜기명예보유자로는 문정옥(중요무형문화재 제14호), 기능보유자로는

                 방연옥(중요무형문화 재 제14호), 나상덕(충남무형문화재 제1호) 등 국가와 지자체로부터

                 인정받은 전통직조기능 보유자들이 1993년 8월 개관한 한산모시박물관에서 전통의 맥

                 잇고 있는 한편, 관광객들이 한산모시를 바로알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시풀을

                 처음 발견했던 건지산 기슭에 모시각, 전통공방, 한산모시 전시관, 토속관 등의 시설을

                 갖춘 85,000㎡ 규모를 갖추고 있습니다

                 한산모시 전시관내 전시실에는 모시의 역사를 전해 주는 고증 서적과 베틀, 모시길쌈 도구,

                 모시 제품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전통공방에서는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모시짜기 등의 공정을 재연하고 있습니다.

                                      기능보유자님께 여쭈어보니 지금 준비중이라 합니다

                                                          매기기장 오늘은 재연을 안하나봅니다

                          

                                                                 매기를 안해서 빌려왔습니다

 

 

                                                       두분이서 모시 날기를 하고 계시네요

 

                      전시관 한 편에 자리한 동상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모시를 짜는 모습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었습니다. 

 

 

 

 

                        

 

 

 지나치고 못봐서 위3장 모셔왔습니다

               모시재배/농기구 전시관으로 이동하면 한산모시제조에 필요한 도구와 한산모시에 관련되는

               전통 농기구가 전시되고 있으며 관람객을 자동 인식하는 영상이 상영되는데, 모시의 고장

               한산면과 모시품 재배와 제조과정을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한산모시짜기 기능보유자 나상덕여사 충남무형문화제 제1호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의 복식사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전통적인 우리나라 옷의

                     기본인 바지·저고리를 기본으로 하여 관복, 의례복, 일상복, 노동복 등의 의복을 한산모시로 제작·재현

                     해놓고 있으며, 현대적 의상 또한 전시되고 있습니다.

                                              

                동양의 5원색인 백, 청, 황, 적, 흑의 색들을 자연에서 채취하여 사용한 천연염료로

                황을 대표하는 치자, 청을 대표하는 쪽, 적을 대표하는 잇꽃, 흑을 대표하는 숯 등과 함께

                다양한 염색재료가 실물로 전시되고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천연염색모시로

                만들어진 다양한 장신구 또한 감상 할 수 있습니다

 

                  생로병사관은 요람에서 무덤으로 이어지는 삶의 변천을 한산모시옷으로 표현하여 아이에서

                  청년, 장년, 중년, 노년 등의 연령대별 남녀 전통복식을 재현하고 있으며, 한산모시로 만든

                  수의와, 수의에 부속되는 모든 것에 대한 명칭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태모시만들기-> 모시째기-> 모시삼기-> 모시날기-> 모시매기-> 꾸리감기-> 모시짜기

                       등을 재연하고 있다 

 

                                                                    한산모시 홍보관

 

  It only hurts for a little wh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