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

부산 근대 역사관


부산 근대 역사관

개설 및 설립목적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지어진 이 건물은 처음에는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 지점으로, 해방 후인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

공보처 부산문화원이었다. 이후 부산 시민들의 끊임없는 반환 요구로 미문화원이 철수하고, 1999년 6월부산시가 인수하여

 2003년 7월 3일 부산근대역사관으로 개관하였다. 부산근대역사관은 이 건물이 침략의 상징이었던 만큼 시민들에게 우리의

 아픈 역사를 알릴 수 있는 교육의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연원 및 변천

부산 중구 대청동 일대가 조선후기 이후 줄곧 왜관지역이었으며, 옛 미문화원 자리에 들어선 부산근대역사관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 일본의 식민지 수탈기구인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으로 건립되었다. 동양척식주식회사는 1910년에 마산출장소를

 설치하여 1919년에 마산지점으로 승격시켰다가, 1921년부산 대청동으로 이전하였으며, 1929년 지금의 건물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던 것이다.

광복 후에는 미군 24사단의 숙소로 사용되다가, 1949년부터는 미국 해외공보처 부산문화원으로 수십 년 동안 미국문화를

소개하는 기관으로 활용되는 등 외세 지배로 점철된 한국 근현대사의 아픈 기억을 고스란히 간직해 온 역사적인 건물이다.

현황

대지 1,465.5㎡(608평), 연면적 2,196㎡(664평, 지상 3층)의 규모에 전시실, 수장고, 사무실, 부대시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관 1층은 근대자료실, 영상실, 정보검색코너, 휴게공간이 배치되어 있으며, 2층에는 부산의 개항, 일제의 부산수탈,

 근대도시 부산관련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3층은 동양척식주식회사와 한미관계, 부산의 비전 등이 전시되어 있으며,

 기획전시실도 배치되었다.


1층에는 근현대의 도서를 열람할 수 있는 자료실을 설치하여 도서관 기능을 갖추었다. 많은 인구에 비하여 도서관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부산시의 현실에서 유동인구가 많은 근대역사관에 도서관 기능을 갖춘 자료실에는 2012년 현재 근․ 현대

관련 전문도서가 4,000여 권에 달하여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어 많은 시민들이 활용하고 있다.민족문화 대백과에서

























 동양척식 주식회사는 일본이 조선의 경제를 지배할 목적과 수탈의 도구로 삼기위하여 1908년 설립한

 일본의 국책회사이며, 이 건물은 부산지역의 경제수탈에 앞장섰던 본거지 이기도 하다.

 

일본은 선진 농업기법을 전해주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더 잘살게 해주겠다는 달콤한 속임수로

 설립된 회사이고 실제는 조선의 토지와 노동력을 착취하기 위하여 만든 회사이기도 하다.















부산항과 가까웠던 지역이라 수출용 곡물과 수입 공산품을 사고팔기 위한 상설시장과 백화점이 등장하고

근대적 상점들과 은행들도 성업했다.  

당시 대청정 현 중구 대청동에는 우체국, 출판사 등이 있었고 현 남포동에는 영화 보급으로 극장도 생겼다

1930년대 부산 대청동 거리를 재현한 근대거리이다  

대청동은 부산의 중심지로 일본인들의 거류지였다.

  동양척식주식회사 부산지점과 금융기관, 병원, 주류점, 가구점, 정미소, 출판사 등

대부분 일본인들이 경영하는 많은 회사와 상업시설시설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다.

포토존에서  사진도 찍을 수 있는 곳이다.

부산 근대 역사관에서 볼 수 있는 것들은 말 그대로 "부산의 근현대사"이다.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라고 하면 안타깝게도 일제강점기 시절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가 없다.

그래서 과거 우리의 슬픈 역사를 전시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의 부산을 거쳐서, 미군정 시기를 거치고, 한국전쟁(6.25 전쟁)을 거친 이후,

경제발전을 해나가는 부산의 역사를 담고 있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헌병대하면 최고의 악랄분자들이였지

전차모형

특히, 전차에 탑승하면, 부산의 과거 명소들의 사진을 이야기와 함께 들어볼 수 있다.

특히, 부산 사투리로 이야기하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역사관 내부의모습

시가지와 전차길


그시절 백의민족이라는 말이 실감날 정도로 흰옷을 많이 입었다




영도대교(影島大橋, Yeongdo bridge)는 부산광역시 중구영도구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1934년 11월 23일에 길이 약 214.63m, 너비 약 18m로 준공되었다. 개통 당시는 다리 이름이 부산대교였다.

1966년 9월 영도구의 인구증가에 따른 교통량의 증가로 도개를 중단하고 전차궤도도 철거되었다.

1980년 1월 30일 부산대교가 개통되어 영도대교로 이름이 바뀌었다. 그러나 기존의 영도대교가

노후화되면서 안정성이 문제가 되어 기존 다리를 철거하고 도개식 교량으로 복원하였다.

복원된 영도대교는 매일 낮 12시부터 15분 동안 교량 상판이 들어 올려지는데 이 드는 다리의 길이는

 31.3m, 무게는 590톤으로, 2분여 만에 75도 각도로 세워진다.원래 도개시간은 12시였으나,

 2015년 9월 현재 도개시간이 14시로 변경되었다.

지금은 없으진 부산역과 부산탑이 세워져 있던 서면로타리 모습이 아름답다
부산시는 1963년 부산직할시 승격되었다가 1995년 에는 부산광역시로 승격 되었다


1950년 7월 부산항에 도착한 미국 함정 및 미군과 인천상륙작전에 투입될 우리나라 해병대가

그물망을 타고 미군함정에 승선하는 모습이 눈길을 끈다.


미문화원 방화사건 영화 변호인과 연관된 건물이 아닌가 생각된다


광복동 삼거리에 있는 조형물

근대 역사관을 돌아보고 집으로 오는데 졸고 있다 한정거장을 더 가서내렸다

집이 정거장의 중간에 있기에 덕포역에서 내려 집으로 간다  여전에 버스로 지나다니며

본 신을 모시는 곳인줄 알고 별관심을 두지 않았으나 오늘은 걸어가며 자세히 살펴본다





신을 모시는 사당은 문이 잠겨 어 들어가지 못하고 설명문만 읽어보고 집으로왔다

여기서 낙동강 뚝까지는 3~500m 그런데 여기가 포구였다니 세상 많이 변했다


지붕위의 바이올린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황령산  (0) 2020.02.15
유엔공원과 평화공원 홍매화와 백매화  (0) 2020.02.09
부산 영화 체험박물관  (0) 2020.01.26
회동수원지 둘레길.설악산의 사계와 야생화  (0) 2020.01.20
경자년 새해 해맞이  (0) 2020.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