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라.광주.제주

목포에서 가거도 까지의 풍경

 

                                                           목포여객 터미날에서 8시10분에 출발 1시간여만에 비금도에도착

               

 

                                                               비금도와 도초도를 잇는 구름다리 저건너에 도초도

                                                                                              비금도 선착장

                                                                                        비금도 등대인듯

                                                      

                                                    선착장이 없으니 다물도에서 작은배가 마중나와 여객과 물건을 실어간다

                                                                              다물도의 아름다운 바위군들

                                                                                      아름다운 다물도 등대

                                                                           해안에는 안개가 끼어 시야가 흐리고

                                                       흑산도항에 도착한다는 안내방송 저멀리 섬을 잇는 육교도 보이고

                                                                              남해 엔젤호에서 바라본 흑산도항

                                                                                                 흑산도 여객 터미날

                                                                                                         흑산도항 부두

                                                                         수산물 쎈타도 보이고 신안군 소유인듯

                                                                                                  흑산도 등대

                                                                                   문암산 정상의 전파탐지기들

                                                                                상태도와 하태도 풍경 저멀리 풍차발전기도 보인다

                                                                    드디어 4시10분만에 가거도에 도착(12시10분)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약 145㎞ 지점에 있다. 북동쪽 약 70㎞ 지점에 대흑산도가 있으며

,                                   그 사이에 상태도·중태도·하태도가 있다. 1800년경 나주임씨가 최초로 거주했으며,

                                    사람이 살 수 있는 곳이라 하여 가거도라고도 불렀다 한다. 최고봉은 섬의 북쪽에 있는

                                    독실산(639m)이며, 급경사의 산지를 이룬다.

                                    해안선은 비교적 단조로우며, 남쪽 해안의 모래해안을 제외하면, 해식애가 발달한 암석해안이 대부분이다

.                                  특히 이곳의 모래에는 규사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주민은 대부분 어업에 종사한다.

                                   연근해 일대는 제주난류가 북상하여 각종 어류의 월동구역이 되며, 조기·멸치·전복·농어 등이 잡힌다.

                                   남쪽 굴섬마을을 중심으로 북동쪽 대북리마을, 북서쪽 향리마을에 취락이 분포한다. 능선을 따라

                                   소로가 나 있고, 목포에서 출발하는 정기여객선이 대흑산도를 경유하여 운항된다. 북쪽에 흑산도 등대가 있다.

                                   면적 7.98㎢, 해안선 길이 22㎞, 인구 423, 가구 200(2003).

                                                                 자욱한 안개 때문에 회룡산도 보이질 않는다

 부두에서 숙소로 가면서본 대리1구마을

 

                                                                                          바위 동산과 후박나무

 

                                                    중국이 390km라는데 닭울음소리가 들린다니 믿기지않는다

 

 

 

                                                                                      유일한 몽돌 해수욕장

                                                                                          몽돌해변 바위산들

                                                                                  하늘공원 오르는길

                                                                                 야관문 꽃 같은데 맞는지?

                                 

                                                점심먹고 하늘공원으로 해서  해뜰목 샛개재 회룡산 선녀봉까지 2시간 30분만에

                                                파란 선을따라 등산했다

                                                                              해맞이에서 바라본 회룡산 절벽

                                       산아 산아 회룡산아 눈이 오면 백두산아 비가 오면 장내산아 바람 불면

                                       회룡산천산 하산 넘어가면 부모형제 보련마는 원수로다 원수로다

                                       산과 날이 원수로다"
                                       가거도에서 구전되어 오는 민요의 한 구절이다. 험준한 산들 너머에 있는

                                      부모형제가 애타게 보고 싶지만 산과 날(날씨)이 쉽사리 허락하지 않아 뜻을

                                      이룰 수 없음을 한탄하는 노래다. 외딴섬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연환경은 매우

                                      극복하기 힘든 난관이었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해맞이 언덕의 후박나무 질긴 생명력

                                     가거도는 우리 땅 으뜸의 생태계 보고로도 소중하다. 우리나라 후박나무 약재

                                     생산량의 70%를 차지할 만큼 후박나무가 빽빽히 들어차있다 

                                                                                   처다만봐도 으시시

                                                                                           나무턴널

 

                                                                                        회룡산 선녀봉 구름속에 흐미하게

                                                   회룡산에서 바라본 대리마을 1구 여기에 가거도항이 생기기 전에는

                                                   향리 마을이 번성하고 컸다고한다 그런데 현재는 향리마을은 두세집

                                                   밖에 사람이 살지않는다

                                                                                  산행를 마치고 휴식

                                                       흑산면 가거도 출장소앞에 세워진 김부연 열사 기념비

 

 

                                                                             잠간 안개가  걷힌 회룡산과 선녀봉(아래)

 

                                                                              산밑에 가거도 초등학교

                                                                                6만원짜리 광어와 우럭회

                                                                                                돛담배모형 돌기념비

                                         2천11년8월의 태풍으로 파도에밀려 여기에 우뚝솟은 테트라포트(무려 64톤)

                                         아무리 생각해도 잘모르겠다 파도의 힘이 이렇게 크다는것일까?

 

                                    짓궂게 우리일행중에 제일 젊다고 저길 올라갔는데 또다른 일행은 오르려다

                                    미끄러저 부상을 입고 다음날 산행도 못했다

 
 
 
 
 

 

 

 

나에게 돌아와요

 

                                     

 

'전라.광주.제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흑산도  (0) 2015.07.02
가거도 이튼날  (0) 2015.07.01
가거도 가기전날 목포에서  (0) 2015.06.29
홍도  (0) 2015.06.28
영랑 생가에서  (0) 2015.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