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정림사지와 부여 박물관

































                                                                   천년을 흙속에 묻혔다 나타난 금동 향로 언제부터인가 이것을 보기위해

                                                                   벼르고 벼르었는데 이제야 보게되니 감개무량하다 이렇게 정교하고 예술

                                                                   성이 뛰어난 백제의 혼이 담긴 향로 이리찍어보고 저리 찍어본다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는 1993년 12월 23일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절터에서 발견된

                                               백제향로이다. 부처는 물론이거니와 도교에서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 혹은 신선이 조각되어

                                               도교불교적 요소가 들어가 있다. 무엇보다도 그 조각 솜씨가 오파츠급이라 백제 문화의 정수

                                               꼽히고 있다. 일반인들에게도 신라의 금관처럼 백제하면 떠오르는 멋진 상징적 유물이 없던차에

                                               그 빈 자리를 채우게 되었다

                                                백제금동대향로는 능산리 고분군을 찾는 관광객들을 위한 주차장 건설 현장에서 주차장 공사가

                                                임박한 때 물웅덩이 진흙 속에서 발견되었다. 오랜 세월에도 이렇게 완벽하게 보존될 수 있었던

                                                것은 진흙에 잠긴 진공상태에서 보관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바닥에서는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등이

                                                발견되었다. 주변에서는 섬유 조각도 발굴되었는데, 이 섬유 조각은 백제금동대향로를 감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발굴 결과 백제금동대향로가 발굴된 곳이 원래 사찰 내에 부속된 대장간임을 알게 되었다.

                                                보물 제 288호 부여능산리사지석조사리감(扶餘陵山里寺址石造舍利龕)에 새겨진 명문으로 미루어보아

                                              , 해당 사찰은 백제 성왕의 명복을 비는 왕실사찰이었던 듯하다.

                                                       

                       백제금동대향로는 전체 높이가 61.8cm이며 크게는 네 부분으로 구성 되어 있다. 용 모양의 향로 받침,

                       연꽃이 새겨져 있는 향로의 몸체, 산악도가 솟아있는 향로 뚜껑, 뚜껑 위의 봉황 장식이다.

                      향로 본체의 가운데 테두리의 구름 문양 아래에는 연꽃이 핀 연못이 있고, 그 위인 뚜껑에는

                      봉우리가 세 개 있는 여러 산이 있다. 이 산에는 말을 타고 사냥하는 사람, 신선으로 보이는 사람들,

                      호랑이, 사자, 원숭이, 멧돼지, 코끼리, 낙타 등 많은 동물들이 장식되어 있다. 또 곳곳에 폭포, 나무,

                      불꽃 무늬, 귀면상 등이 있다. 제단 모양으로 꾸며진 정상에는 봉황이 날개를 펴고 춤추고 있다.

                      이 새가 봉황이 아니라 이라는 학문적 소견도 일부 있다. 물론 보통 닭은 아니고(...) 백제 왕실을

                      상징하는 천계(天鷄)라는 게 그 의견. 불교 및 도교의 영향을 다수 받은 것이 백제 후기 유물들인데

                      여타 신수, 영물에 비해 이러한 조류 조각이 많다는 점, 또한 그중 다수의 조류 조각에서 며느리

                      발톱으로 추정되는 묘사가 보인다는 점 등이 주된 이유다.

                      그 아래에는 5악사가 있어서 소, 피리, 비파, 북, 현금을 연주하고 있다. 그 주위의 다섯 봉우리에는

                      각각 기러기로 보이는 새가 봉황과 함께 춤추는 형상이 있다. 향로의 몸체에는 연꽃이 있는데 그 위에

                      갖가지 새와 물고기가 새겨져 있다. 또 한쪽에는 무예를 하는 인물도 있다. 그리고 그 아래에 발가락이

                      다섯 개 있는 용이 위의 연꽃을 물고 하늘로 날아가려는 듯 용틀임을 하고 있다.

                      (표현에 대한 묘사는 객관적인 것이고 따라서 원전에서 따온 후 출처를 명시. 출처 : 서정록,

                       백제금동대향로, 도서출판 학고재)

                       이 향로는 7세기, 고구려에게 한강유역을 빼앗기고 신라에게도 뒷통수를 맞은 백제가 다시 안정을

                       되찾고 꽃피운 문화의 상징으로 꼽힌다.

                       또, 당시 한반도에는 없었던 원숭이나 코끼리 등등이 조각되어 있고, 연꽃이 나타나는 등 불교

                       색체와, 봉황이나 신선같은 도교적 색체가 공존하고 있어 당시 국제교류가 활발했으며 따라서,

                       여러 사상이 공존했던 해상국가 백제의 면모를 보여준다. 보통은 중국 북위 쪽의 영향을 받았다고

                       보지만, 서정록은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

                       제작시기는 520~534년쯤이다. 향로에 뚫린 구멍은 0.6 cm 정도지면 몇 개가 1 cm 정도로 확장돼 있다.

                       처음 제작했을 때 생각보다 향이 잘 타지 않아서 구멍 몇 개를 더 크게 만든 듯하다. 구멍은 모두 12개인데

                       향로 제일 위에 있는 봉황의 가슴에 2개, 향로 뚜껑 상부에 5개, 중부에 5개씩 뚫려 있다. 이중 중부에 있는

                       구멍은 향의 연기를 배출하는 용도가 아니라 바깥 공기가 들어오는 용도이다. 이렇게 바깥 공기가

                       들어옴으로써 향로 안에서 대류가 일어나 향의 연소 시간이 길어지도록 한다.

                                             기와장 한장에도 이렇게 정성이 깃든 문양을보면 그시절의 장인정신을 알것 같다





          1970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의 절터에 묻혀 있던 무쇠솥에서 다른 하나의 관음보살입상과 함께
          발견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1.1㎝이다.

          머리에는 작은 부처가 새겨진 관(冠)을 쓰고 있으며, 크고 둥근 얼굴에는 부드러운 미소를 띠고 있다. 목에는
          가느다란 목걸이를 걸치고 있고, 가슴에 대각선으로 둘러진 옷은 2줄의 선으로 표시되었다.

 

          양 어깨에서부터 늘어진 구슬 장식은 허리 부분에서 자그마한 연꽃조각을 중심으로 X자로 교차되고 있다.
          치마는 허리에서 한번 접힌 뒤 발등까지 길게 내려와 있는데 양 다리에서 가는 선으로 주름을 표현하고 있다.

 

          오른손은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으로 작은 구슬을 살짝 잡고 있고, 왼손은 아래로 내려져 옷자락을
          잡고 있다. 보살이 서 있는 대좌(臺座)는 2중의 둥근 받침에 연꽃무늬가 새겨진 형태로 소박한 느낌을 준다.

          얼굴에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미소와 비례에 맞는 몸의 형태, 부드럽고 생기있는 조각수법을 통해 7세기
          초 백제시대의 불상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