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

동명불원에서 광안리까지

한국에서 만나는 동남아시아 사찰, 동명불원
용당동 용비산(龍飛山)에 자리 잡고 있는 동명불원(東明佛院)은 동명목재 회장 고 강석진씨가 국가번영과 부모의

 왕생극락을 빌고 동명의 산업현장에서 일하는 1만여명의 동명 가족들의 행운을 위해 건립했다.

대부분의 우리나라 사찰이 한국 전통 양식인데, 이 절은 동남아시아의 영향을 받아 용마루가 곧게 뻗어 있고 미얀마의

 고탑에서 발굴된 부처의 사리를 모셔 놓았다. 이곳에 안치된 목조개금불상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것이다. 범종 또한

 한국 최대 규모로 27t이나 되는데 에밀레종보다 6t 정도 더 무겁다고 한다. 동명불종은 종두(鐘頭)에 사룡이 새겨져

있는데, 종래 볼 수 없었던

 대관문 (일주문)

천왕문

사대천왕

사대천왕도 다른 사찰보다 1.5배는 큰 것 같다

대웅전 내부에는 석가세존을 중심으로 좌편에 미륵보살, 우편에 제화 갈라보살 등 3본을 모셨고, 좌불은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16m이며 법당의 크기도 498.84m²(150.9평)이나 된다. 법당의 가운데에는 기둥없는 특수 공법을 사용했고

 내부 천장의 중앙에 4마리의 용머리를 조화시켰으며 양쪽 벽에는 비천상을 새겼다.


대웅전 석가모니불을 주존으로 미륵보살,  제화갈라보살을 모셨고

 현존하는 목조개금좌불상중 우리나라에서 제일 큰 것이라 볼 수 있다




관음전 관세음보살상과 용왕상,남순동자상이 봉안되어 있다

덕성탑, 부덕탑 

 효자 효부를 기리기 위해 만든 덕성탑 남자의 덕망과 여자의 덕성을 상징하며, 모든

선남선녀는 불법에 귀의하여 덕망과 부덕을 잘 닦아야 한다는 뜻을 담은 부덕탑이 있다.



 극락전 나한전 관음전이 갖추어져있었고, 칠성각 산신각 독성각은 2층으로 설계하고 2층에는 불교서적을 진열했다.

 사천왕문의 설계는 입상으로 하였고 효자 효부를 기리기 위해 만든 덕성탑 남자의 덕망과 여자의 덕성을 상징하며

모든 선남선녀는 불법에 귀의하여 덕망과 부덕을 잘 닦아야 한다는 뜻을 담은 부덕탑이 있다. 산신각의 산신은

불원이 자리잡은 산령님을 정중히 모셨다.

 동명불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대관문이 있고 주변에는 인공으로 된 바위만한 정원석을 쌓아 사찰의 위용을

돋보이게 했다. 트럭 1대에 정원석 1개를 싣고 올 정도로 큰 돌들 뿐이다


극락전 불상

극락전 지장보살상

독성각


나한전 불상

세계 최대의 법종, 동명불종
동명불원에는 법구사물 중 하나이며 세계최대의 법종인 동명불종이 있는데 무게가 27톤으로 경주 에밀레종보다

6톤이나 무겁다. 종의 사방면의 모양은 연화좌 위에 무릎을 세우고 공양하는 공양상과 비천상 주위에 보상화를

구름과 같이 피어오르게 한 것으로 되어 있고 천상으로 천의와 영락등이 휘날리고 있는 에밀레종(국보29호)의

비천상과 구름 위에 서서 서로 마주보며 무릎을 세우고 하늘을 날며 공후와 생을 주악하는 강원도 상원사종

(국보36호) 비천상의 두 모습을 참고하였다. 문양에 있어서도 장식문형과 비천상, 여래상, 보살상, 동자상 등

상징적인 조상이 있으나 이 불종은 비천상의 문양을 택하였다. 무거운 거종을 메어 단 들보에는 관세음보살 육자

 대명왕 진언 옴마니반 메홈의 범자가 씌어 있다. 박달나무의 종채는 네 가닥의 쇠사슬로 매어져 있고, 좌우 양편에서

 두 사람이 치도록 되어있다. 종의 북쪽면은 동명불종이라는 이름을 새겼고, 남쪽면은 서기 1976년 4월 8일

단기 4309년 4월 8일로 조성시기를 밝혀 놓았다.출처: 대한민국 구석구석



용비산은 근교산이지만 소나무 숲이 잘 조성돼 그늘도 좋고 길도 완만해 걷기에 좋다




봉오리산에서 바라본 황령산과 금련산

백양산과 불웅령

구덕산과시약산 앞에 보이는게 민주공원 중앙이 구봉산 우측이 엄광산

영도와 봉래산

신선대부두와 북항

중앙뒤로 천마산과 부산대교

줌인으로 담은 천마산과 부산대교 그리고 부산항 전경

앞에 보이는게 신선대

오륙도 앞 에스케이 아파트







기년비가 신선대 아래에 있다 아래에 다시 소개



부경대학교 용당 캠퍼스 본래 부산공업대학 이었는데 수산대와 공업대가 1997년도에 합병했다


매일 뿌였던 날씨가 오늘은 아주 맑아 시야가 엄청 좋다


줌인으로 담아본 오륙도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22호이다. 부산만의 승두말에서 남동쪽으로 약 600m 지점에 있으며,

 총면적은 0.019㎢이다. 승두말에서부터 우삭도(방패섬:높이 32m)·수리섬(32m)·송곳섬(37m)·

굴섬(68m)·등대섬(밭섬:28m) 등 5개의 해식 이암(離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선대 정상

매립하기 전에는 바위 절벽으로 아름다운 경치로 많은 사람들이 찾았는데

지금은 매립하여 신선대 부두로 쓰고 있으니 접근하기가 어렵다


중앙에 보이는 곳이 조도와 해양대학교 뒤에는 태종산


신선대에서 바라본 오륙도







천주교 공원묘원

백운포 남구구민 체육공원 S.K 아파트 오륙도 우측에 해군 작전 사령부

뒤돌아본 신선대



광안대교와 해운대 신시가지

동생말에 있는 더 뷰 컨벤션 안소영이 여기서 결혼식을 올렸다 해서 유명해진 곳이다

영업용 대형요트

금련산과 청소년 수련원


부경대학교 실습선



어찌나 공기가 맑은지 장산이 손에 잡힐듯 지근거리에 있는 것 처럼보인다

광안대교와 해운대 신도시 오른쪽에 동백섬과 와우산 달맞이고개

장산의 모습

장산(萇山)은 옛날 장산국이 있던 곳이라 하여 붙은 이름으로 전한다. 상산(上山)으로도 불렸는데,

전설에 따르면, 상고 시대에 산 아래 우시산국(于尸山國)이 있었는데 시(尸)는 고어로 ‘ㄹ’로도 읽고 ‘

ㅅ’으로도 읽어 울산 또는 웃산이 되었다가 옛 동래 지방에서 웃뫼라고 부르면서 상산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전한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아름다운 광안리 해수욕장



아쿠아 펠리스호텔 사우나에서 목욕하고 나오니 5시 잠시 바닷가를 거닐어본다

광안대교는 길이 7,420m에 폭 18~25m인 2층 구조로 된 왕복 8차로의 자동차 전용 해상 교량이다. 현수교는 중앙에 있고

 양측에 각각 360m씩 3경간 연속 2층 트러스교가 건설되어 있다. 광안대교에는 후판 13만 7000톤, 교량 난간에

열연 강판 3,500톤, 현수교 케이블에 선재 4,300톤 등 모두 14만 4800여 톤의 강재가 사용되었다. 제한 속도는 80㎞/h이며

 총 하중은 43.2톤이다. 교량은 최대 풍속 45m/sec[부위별 67~72m/sec로, 태풍 사라호의 최대 풍속이 34m/sec였음]와

 7m의 파고, 리히터 규모 6의 지진[내진 1등급]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총 사업비는 7,899억 원[시비 5,097억 원,

국비 2,802억 원]이 들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아파트 넘어로 벌써 해는 기울어 보이지를 않는다

이기대와 장자산

소원을 적어 걸어둔 리본이 며칠 사이에 이렇게 많이 붙어있다

상형달이 벌써 빛을 발하기 시작합니다

서쪽하늘에 물들어가는 노을

황금돼지

황금돼지의 불빛을 배경삼아 인증도하고


서서히 광안대교의 조명이 켜지고 해변의 젊은이들도 자리를 뜨는듯



요한스트라우스 라데츠키 행진곡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남역에서 모라역까지  (0) 2019.02.22
해운대 대보름 달집태우기  (0) 2019.02.20
기장 죽성 매화  (0) 2019.02.10
설 명절을 보내고  (0) 2019.02.06
부산에도 눈이 내렸어요  (0) 2019.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