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부여 궁남지 연꽃

궁남지(宮南池)는 충남 부여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일대에 위치한 백제 사비시대의 궁원지(宮苑池)이다.

별궁 인공 연못으로,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동쪽 일대에는 대리석팔각형으로

 짜 올린 어정, 기와편, 초석(礎石)이 남아 있다. 1964년 대한민국 사적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7/2)


궁남지에 대한 조사는 1990년부터 현재까지 9차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사비시대에 조성된 인공수로, 목조저수조,

 우물지와 도로유구, 수정 경작지, 토기 가마터, 굴립주건물지 등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고, 6~7세기와 3~4세기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목간은 주로 6세기 무렵 조성하여 사용된 인공수로와, 목조저수조 내부의 퇴적된 개흙층에서

출토되었는데, 행정 구역명, 인명, 지명 및 수전을 개간했던 사실이 적혀있다.




  • 궁남지에 대해서 《삼국사기》〈백제본기〉 무왕 35년(634년)에 '3월에 궁성(宮城) 남쪽에 연못을 파고 물을 20여리나 되는
  • 긴 수로로 끌어들였으며, 물가 주변의 사방에는 버드나무를 심고, 연못 가운데에는 섬을 만들어 방장선산(方丈仙山)을
  • 본떴다'고 되어 있다. 백제 웅진(熊津)시대의 왕궁이었던 공산성(公山城) 안에서는 당시의 것으로 판단되는 연못이 왕궁터로
  •  추정되는 건물터와 함께 발굴된바 있다.

  • 《삼국사기》무왕 37년조에는 "8월에 망해루(望海樓)에서 군신(群臣)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는 기록이 있다.
  • 39년조(年條)에는 "3월에 왕이 왕궁(王宮)의 처첩(妻妾)과 함께 대지에서 배를 띄우고 놀았다"는 기록이 있다.
  • 이로써 궁남지는 처음 만들어질 때 붙은 이름이 아니고 백제시대에는 단지 대지라고 불렸음을 알 수 있다.
  • 또한 뱃놀이를 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컸을 것으로 보인다. 규모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으며 현재는 1만평 정도만 남아 있다.
  • 《삼국사기》 의자왕(義慈王) 15년조에 "2월에 태자궁(太子宮)을 지극히 화려하게 수리하고 왕궁 남쪽에 망해정(望海亭)을
  •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 일본서기》에는 궁남지의 조경(造景) 기술이 일본에 건너가 일본 조경의 시초가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 저녁에 내린 이슬이 뭉처서 물방울이 되었다

    설화

    궁남지는 백제 무왕(武王)의 출생 설화와 관련이 있다. 백제시대 법왕(法王)의 시녀였던 여인이 못가에서 홀로 살던 중

     용신(龍神)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이가 서동(薯童)으로 법왕의 뒤를 이은 무왕(武王)이다.



    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 서정주

    섭섭하게,
    그러나
    아주 섭섭치는 말고
    좀 섭섭한 듯만 하게,

    이별이게,
    그러나
    아주 영 이별은 말고
    어디 내생에서라도
    다시 만나기로 하는 이별이게,


    만나러 가는
    바람 아니라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엊그제
    만나고 가는 바람 아니라
    한두 철 전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현지에서 사진찍어주고 한장에 5천원씩 받는 분에게 부탁 했더니 이렇게 찍어주는데

     내가 찍은거나 별로 차이가 없다



    왜개연

    잎은 근경 끝에서 나오며 엽병이 길고 엽병은 밑부분이 반원주형이며 2개의 능선이 있고 윗부분은 거의 세모가 지며 수면에

     떠 있는 잎은 넓은 달걀모양, 난상 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6-8cm, 폭 6-9cm로서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뒷면에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두껍고 표면은 광택이 난다.


    꽃은 8-9월에 긴 화경이 나와 물 위에서 피고 지름 2.5cm정도로서 황색이며 꽃받침은 5개이고 꽃잎같으며 넓은 거꿀달걀모양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12-20mm로서 원두이다. 꽃잎은 주걱같은 거꿀달걀모양이며, 길이는 5~7mm로서 끝이 둥글고

     많으며 꽃밥은 길이 2.5~3mm로서 타원형이고 수술대는 3~10배 길다. 꽃의 주두반(柱頭盤)은 직경 6~8mm로서

    연한 황색이거나 일부분에 붉은빛이 돌며 중앙부에는 돌기가 있고, 10~20개의 암술대가 있다.



    물양귀비[Water Poppy]

     화려하고 도도한 양귀비와는 달리 물의 겸허함을 배웠는지 부드러운 연노랑색이다.

     너무나 강렬한 색감의 유혹하듯 하늘거리는 양귀비에 비해 물양귀비는 은은하면서 곱다.


    물양귀비는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남미가 원산이다. 물 아래 흙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잎은 물 위에 떠 있는데

     잎 자체도 관상용으로 손색이 없다. 노란 꽃잎 석 장이 달린 꽃은 중앙에 진붉은 수술이 자리잡고 있다.

    부드러우면서도 밝고 환하다.


    열대수련

    수련은 전세계에 약 50여종, 국내엔 2종이 분포 한다니 우리가 보고 즐거워하던 수련은 거개가 외래종인 셈입니다.

    수련중에 열대 수련은 꽃이 크기도 하려니와 모양이 아름답고 화려해서 보는 눈이 즐거운데 꽃은 한여름 무더울때

    그것도 오밤중에 피어서 해뜨면 오무러들기 때문에 웬만큼 부지런을 떨지 않으면 멋진 장면을 보기 쉽지 않습니다 .


    수련

    다년생 초본의 수생식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중남부지방에 분포하며 늪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근경은 굵고 짧으며 밑부분에서 많은 뿌리가 나온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고 잎자루가 길다.

    물위에 뜨는 잎몸은 길이 5~20cm, 너비 8~16cm 정도의 난상 타원형으로 밑부분은 화살 모양이고 양쪽 잎기부가 거의

     닿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6~7월에 개화한다. 긴 화경에 피는 꽃은 백색이지만 관상용은 여러 가지 색이 있다.

     열매는 난상 원형으로 꽃받침으로 싸여 있으며 물속에서 썩어 종자가 나오고 종자에 육질의 종의가 있다.

     ‘개연꽃’과 달리 꽃받침조각이 4개이고 자방반하위이다. 밤에 꽃잎이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이라고 한다.

    세계적으로 많은 종류가 있으며, 관상용으로 여러 가지 종류가 도입되어 많이 재배되고 있다.

    부처꽃

    키가 80~100㎝ 정도이고, 밭둑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이 줄기를 감싸며 잎가장자리는 밋밋하다.

     7~8월에 홍자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 3~5송이씩 돌려난다. 꽃잎은 6장이고 열매는 삭과로 익는다. 줄기에 털이 있는 털부처꽃도

     흔히 자란다. 식물 전체를 말린 것을 천굴채라 하여 한방에서 지사제로 사용한다. 일본에서는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불공인

     우란분절에 부처꽃을 불단에 바친다고 한다.



    한 송이 수련으로 /이해인

     

    내가 꿈을 긷는

    당신의 못 속에

    하얗게 떠다니는

    한 송이 수련으로

    살게 하소서

     

    겹겹이 쌓인 평생의  그리움

    물위에 풀어 놓고

    그대로 목말라

    물을 마시는 하루

    도도한 사랑의 불길조차

    담담히 다스리며 떠다니는

    당신의 꽃으로 살게 하소서

     




    남아메리카 원산의 수련과 빅토리아속(Victoria) 식물을 말한다. 열대 지역에 서식하는 수생식물로 지름 최대 2m 정도의 거대한

     잎과 향기로운 꽃이 특징이다. 잎과 줄기에 가시가 있어 ‘큰가시연꽃’이라고도 한다. 빅토리아속은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

     기념하기 위해 붙여진 이름이다.



    잎은 지름 최대 2m 정도까지 자란다. 꽃과 잎 모두 아마조니카보다 약간 더 작으며, 잎 테두리는 훨씬 높아 구분할 수 있다.

     잎 테두리는 높이 약 20cm 정도까지 올라온다. 아마조니카와 마찬가지로 잎의 윗면과 꽃송이를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가시가 나 있다.

    꽃은 지름 약 25cm 정도로, 바닥의 진흙 속에 있는 뿌리에서 나온 긴 꽃대 끝에 열린다. 물밖에서 보면 물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아마조니카처럼 꽃은 개화한 첫 날에는 흰색이지만, 두 번째 날에는 분홍색으로 변한다.

    첫날에는 강렬한 향기와 열로 딱정벌레를 끌어들이며 가둔 뒤, 하루가 지나면 다시 꽃잎을 연다.





    궁남-지 []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에 있는 백제의 별궁 연못. 무왕 35년(634)에 연못을 궁 남쪽에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연못의 중앙부에 석축과 버드나무가 남아 있어 가운데에 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주변에서 백제 토기와 기와 따위가 출토되었다. 사적 정식 명칭은 ‘부여 궁남지’이다.


    셀카 인증도하고



    포룡정 사랑 이야기-

                  <박지영>



    그대와 내가 이곳 궁남지에서

    수줍고 어여쁜 사랑 이야기 나눈곳

    포룡정은 우리의 사랑을 안듯

    연꽃향기 은은히 뿜어주고 있었지요



    아름답고 고요한 저녁

    포룡정을 환히 비추고 있는 정자

    연못 풍경을 바라보며 함께 거닐때

    마치 무왕과 선화공주가 되었답니다



    그대는 순수한 마음으로 나에게

    살며시 다가와 변함없는 사랑을

    약속을 하며 호수 주변은

    연꽃향기에 더욱더 진한 사랑으로

    가득 채우주고 있었지요



    진흙속에 자라면서 청결하고

    고귀한 자태로 아름다움을 피워 오르며

    변함이 없듯 세월 흘러도 그 모습 그대로

    포룡정의 자취를 바라보며



    우리의 영원한 약속도 이곳

    궁남지에서 사랑의 노래를 부르며

    영원하길 당신께 향한 나의 마음 전합니다

    못속의 잉어들이 물위로 입을 내밀고 산소공급하는 건지 먹이를 달라고 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반영을 담고자 여러번 시도를 해보지만 잉어들이 파문을 일으켜 번번히 실패를 한다

    포룡정

    포룡정은 백제 고도 부여의 궁남지 가운데 있는 정자다.

    궁남지는 삼국유사에 나오는 무왕의 출생설화가 있는 곳으로

    무왕의 어머니와 관계했다는 신룡의 이야기 때문에 포룡정이라는

    정자 이름이 된 것이다


    물양귀비


    궐련 말 듯

    수박껍질마저 오그린

    잉검불 태양도

    물양귀비 미농지 꽃잎 하나를

    말리지 못하고

    어둠 내리자 꽃잎

    스스로 눈을 감는다


    단 하루 동안

    세상 모든 걸 보았다고

    보고 싶은 모든 것

    오늘 다 있었다고

    아쉽고 궁금한 것

    더 없다고

    꽃으로 왔다가

    꽃으로 간다고


    나더러

    천천히 오라고

    아 글쎄 저는 단 하루만에

    이 세상을 지나면서


    - 물양귀비 / 반칠환


    한켠에는 코스모스도 벌써 피어있네











    백제시대 이궁터로 알려진 궁남지 일대에는 아명(兒名)을 서동(薯童)이라 했던 무왕의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사비시대에 왕궁 남쪽 못 가에는 궁궐에서 나와 혼자 사는 여인이 궁남지의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으니, 그가 바로

     백제 제30대 왕인 무왕 장(璋)이다.

     
    그의 어머니가 용과 교통하여 아들을 낳았다고 하였으니 아마도 그의 아버지는 왕이거나 태자였을 것이다.

    그러나 궁궐 밖의 생활이 궁핍하였으므로 생계유지를 위해 그는 마를 캐다 팔았다. 그래서 그의 아명이 서동이 되었던 것이다.
    서동의 어머니는 가난에도 불구하고 그를 정성으로 키웠다. 그는 기골이 장대하고 효성이 지극한 장부로 성장하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날 밤, 궁중에서 한 노신이 찾아와 왕의 밀명을 전하였는데 신라의 서라벌에 잠입하여 국정을 탐지하라는 것이었다.
    서동은 기꺼이 받아들여 마를 파는 상인으로 위장하여 신라에 잠입, 탐지활동을 충실히 수행해 나갔다.


    그러던 어느날 신라 제26대 진평왕의 셋째 딸인 선화공주와 마주치게 되었다. 이후 두 사람의 만남이 잦아지면서 사랑이 싹텄다.
    그러나 서로는 국적과 신분이 달라 맺어질 수 없는 사이임을 알았다. 그러나 헤어질 수 없었던 두 사람은 지혜를 짜내 서동요를

    만들어 퍼트리기로 했다. 서동은 서라벌의 아이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 가서 마를 나누어주며 노래를 부르게 하였다.

     
    선화공주님은 남 몰래 시집가서 서동 도련님을 밤이면 몰래 안고 간다.는 노래였다.
    이 노래는 아이들의 입을 통해 온 나라에 퍼져 나갔다. 결국 대궐에까지 알려지게 되어 오해를 받게된 선화공주는 귀양을 가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미리 알고 있던 서동이 선화공주를 백제로 데려와 행복하게 살았다는 사랑이야기이다.





    원추리


    칸나와 물칸나





    몇 년 전 어느 해인가 그때는 겨울이었지만 정림사지를 둘러보고 궁남지로 갔었는데 안개가 얼마나

    짓게 드리워졌는지 아무것도 제대로 안 보여 대충 돌아봤는데 이번에 정반대의 환경을 접하니 어디가

    어데인지 정말 감이 안 잡혀 포룡정을 찾을 수가 없어 주위 사람에게 물어보기까지 했다


    모차르트-피아노 협주곡 제1번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충청.대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동 옥계폭포와 월류봉  (0) 2019.07.17
    영동 평화공원  (0) 2019.07.15
    보령 오서산  (0) 2018.10.14
    청남대  (0) 2018.09.25
    법주사  (0) 2018.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