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에 블친님의 포스팅에 맥도 생태공원 가시연꽃이 올라 왔기에 월요일 아침 옆지기 출근 시켜주고
맥도공원 연꽃단지로 달려간다(8/31)
이른 아침이라서 아직 해는 저 산 아래에 있는 것 같고 하늘은 가을 하늘처럼 맑은데
옅은 구름이 오락 가락하고 있다
하늘을 보니 벌써 가을이 저만치 와 있는 느낌
백련과 청련단지를 지나 여기 수련단지에 왔는데 사계 청소하는 분들이 출근을 하면서 출입을 통제한다
야외에서 마스크 쓰고 50m이상 떨어져서 사진을 담는데 왜 열려 있는 데크 길을 못가게 하는지
우리나라는 안장만 차면 왕노릇을 하려고 하니 참으로 한심스럽다 어디에도 코로나로 출입을
통제 한다는 말이 없는데 정말 욕이라도 해주고 싶지만 같이 섞으면 나도 같은 사람이 되기 싫어
피해 버린다
아침이라서인지 수련은 아직 활짝 핀 채로 벌들을 맞이 하고 있다
참통발
연못에 사는 식충식물
통발은 물이 흐르는 곳에 설치하는 어구를 말한다. 식물 중에서도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 통발이다.
통발은 연못이나 논에 자라며 뿌리줄기에 둥근 포충낭을 여러 개 두어 벌레를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포충낭은 처음엔 초록색인데 벌레를 잡아먹고 나면 검은색으로 변한다고 한다.
일반적인 식충식물이 공기 중에서 벌레를 잡는 것에 비하면 매우 독특하다.
조용조용 접근하는데 저 두루미는 벌써 예민하게 날아가고 있다
경계를 하면서 먹이를 찾고 있는 중
가시연꽃 단지로 이동을 하면서 잠시 뚝방길 벚꽃나무 턴널도 걸어보고
여기는 명지동쪽 길
포토스케이프로 양쪽 사진으로 사진 놀이도 해본다
여기는 구포동쪽길
뚝방 아랫길은 메타스퀘이아 길이 시원스럽게 펼처지고
물달개비
1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냇가와 연못가 및 논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5~6개의 줄기가 모여 나오고 길이 10~20cm 정도이며 1개의 잎이 달린다. 근생엽의 잎자루는
길이 10~20cm 정도이지만 원줄기의 것은 3~7cm 정도이다. 잎몸은 길이 3~7cm, 너비 1.5~4cm
정도의 삼각상 난형이고 물속에 잠긴 잎은 잎몸이 넓은 피침형이다. 8~9월에 개화한다. 화경은 잎보다
짧아서 군락상태에서는 꽃이 보이지 않는데 꽃은 청자색이다. 삭과는 길이 10mm 정도의 타원형으로
밑으로 처진 과경에 달리고 길이 1mm 정도의 종자가 많이 들어 있다. ‘물옥잠’과 다르게 잎은 넓은
피침형 내지 난상 심장형이며 너비 1.5~4cm 정도이고 꽃차례는 잎보다 짧으며 꽃의 수가 적다.
논에서 문제가 되는 수생잡초이다. 관상용으로 이용하거나 사료나 퇴비로 쓰이기도 한다.
식용하기도 한다.
가시연꽃 단지로 왔는데 전에 우포늪에서 보았던 가시연꽃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죽순처럼 뾰쪽 뾰쪽한 몇개만 보이고 넓다란 잎만 보인다 안내문을 보면 7~8월에 핀다는데
저런 모습을 보면 아직 안 핀 것도 같고 피었다 진 것도 같고 종잡을 수가 없다
조금 핀 한송이 겨우 찾아냈는데 거리가 너무 멀다 최대의 줌인을 해봐도 이정도 밖에 안 잡힌다
우포늪에서 보았던 가시연 꽃 이런 모습을 보여주면 얼마나 좋을까
마름
전국의 연못에 흔하게 자라는 한해살이 물풀이다. 세계적으로는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에 분포한다.
줄기는 가늘고 길다. 물속의 잎은 깃꼴로 가늘게 갈라진다. 물위에 뜬 잎은 줄기 위쪽에 모여난다.
잎자루는 연한 털과 공기주머니가 있고, 8-14cm다. 공기주머니는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잎몸은
난상 마름모꼴이다. 잎 앞면은 윤기가 있고, 뒷면은 잎줄 위에 긴 털이 많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물위로 나온 꽃자루 끝에 1개씩 피며, 흰색이다. 꽃자루는 짧으나 나중에 길게 되며, 겉에 털이 난다.
꽃받침잎, 꽃잎, 수술은 각각 4개, 암술은 1개다. 열매는 핵과이며, 겉이 딱딱하고, 납작한 역삼각형,
검은색, 양쪽에 길이 1.2-1.6cm의 뿔이 2개 있다.
마름
마름과 참통발을 다시 담아보고
제대로된 가시연꽃을 보지 못해서 실망스럽지만 다음에 또 기회가 있겠지 위안을 하고
발길을 돌린다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장 오랑대와 해국 (0) | 2020.10.23 |
---|---|
삼락공원의 주말 모습 (0) | 2020.09.16 |
부산 시내 투어 (0) | 2020.07.29 |
맥도 생태공원과 삼락공원 연꽃 (0) | 2020.07.10 |
부산 화명동 장미공원 (0) | 2020.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