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경기.강원.인천

경복궁 경회루

향원정과 건청궁을 돌아보고 마지막으로 이곳 경회루에 도착을 했다 

경회루

국보(1985.01.08 지정). 외국 사신의 접대와 연회를 베풀던 곳이다.

처음에는 경복궁의 서북쪽에 연못을 파고 작은 규모로 지었던 것을 1412년 서쪽으로 옮겨 큰 연못을 파고

4 각형의 인공섬 위에 더 크게 세우면서 경회루로 이름 지었다. 1429년 중수되었고, 1475년 고칠 때 48개의

석주에 구름 속 용을 조각해 조선 3대 장관의 하나로 알려졌다.

 

1592년 전부 불타버렸다가 1865년 경복궁 중건공사 때 다시 짓기 시작해 1867년 완공되었다.

앞면 7칸, 옆면 5칸의 중층 건물이며, 팔작지붕인 이 건물은 장대석 기단 위에 서 있다.

아래층은 외주방형과 내주원형으로 된 48개의 민흘림석주가 상층목조부분을 지탱하고 있으며, 바닥에는

방전을 깔았고, 우물천장을 아름답게 단청했다.

 

경회루가 갖는 건축적 특징은 평면구조·칸수·기둥수·부재길이 및 창의 수 등에 〈주역〉의 이론을 적용해

신선의 세계를 만들려고 했다는 것이다.

못에 비친 그림자가 특히 아름답기로 유명한 경회루. 여기에는 특별한 과학이 숨어있다.

북악산에서 흘러들어온 물이 연못 전체를 순환하게 되어 있어 항상 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경회루로 들어오는 물줄기는 세 곳이 있다. 하나는 북쪽 호안에 조각된 용머리로, 그 입을 통해 물이 들어온다.

동쪽 돌다리 밑으로또 다른 물줄기가 흘러들어온다. 북쪽 연못 바닥에서도 지하수가 솟아 나온다.

못의 바닥이 약간 기울어져 있어, 강제순환 장치 없이도 연못을 맑고, 잔잔한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하향정 

이승만 전 대통령이 낚시를 즐겼던 곳이며 마지막목수 

중요무형문화재 74호 대목장 배희한이 건축했다고 한다

광복 후에 지어진 정자다

안의 연못이 고여 있다고 생각되지만사실 안에 여러 곳에서 샘물이 솟아 나오고

빠져나오는 곳이 있어서 물이 썩지 않았고 배수 시설도 잘 갖춰져 있어서

호우에도 물이 범람하지 않았다고 한다

수양버들이 보기 좋게 늘어진 모습 봄에 수양 벚꽃이 피면 이러한 모습이려나 

동서가 128m, 남북이 113m인 못 안에 방형의 섬을 만들고 거기에 누를 세웠다.

경회루는 경복궁의 꽃이다, 궁중연회를 베풀거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던... 나라의 공식적인 연회장소였다.

근정전, 종묘 정전과 함께 조선시대 3대 목조건물인 경회루는 우리나라 누각 중 가장 규모가 크다.

마흔여덟 개의 육중한 돌기둥 위에 누마루를 수평으로 깔고, 장엄한 팔작지붕을 씌운 모습은

아름답기 그지없다.

경회루를 가장 많이 이용한 임금은 세종이었다고 한다, 가뭄에는 기우제를 올렸고,

무과 시험을 주재했으며 무사들의 활쏘기 시범도 이곳에서 관람했다.

왕들은 경회루에서 외국 사신을 맞이하고 종친과 신하들을 위한 연회를 자주 베풀었다.

경회루는 세종의 손자, 단종이. 자신을 옥죄어오던 숙부, 수양대군에게 옥새를 넘겨준 곳이기도 하다.

경회루는 조선말 목재 여건에서 지을 수 있는 한 가장 큰 건물이라는 추측의 근거가 된다.

소모되는 부재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다른 건물과 차별화된 점이 있기 때문이다.

우선 팔작지붕의 삼각형 수직 벽면인 박공의 비율상 크기가 굉장히 크다.

근정전과 비교해 봐도 두 건물의 크기 차이 이상으로 박공 차이가 더 크다.

이는 박공의 크기를 늘려 그만큼 박공 아래에 있는 처마 지붕의 길이를 짧게 하려고 했던 것이다.

비가 들이치는 박공은 작을수록 좋은데, 통상의 비율을 어기면서까지 크게 만들었음은 그만큼

처마에 쓸 긴 목재를 구하기 어려웠기 때문일 터이다.

삼림자원이 고갈된 조선말에서는 충분히 큰 나무를 구하기가 어려웠다.

바다처럼 푸른 물에 드리워진 반영이 참으로 아름답다 

경회루 못에는 크고 작은 세 개의 인공 섬이 있다.

두 개의 네모난 작은 섬에는 소나무가 심어져 있다.

그중 가장 큰 섬 위에. 경회루가 자리한다.

경회루는 당대 최고의 토목건축가인, 노비 출신의 박자청이, 태종의 명을 받아 8개월 만에 완성한 대역사다.

이층 누마루에서 서쪽을 바라보면, 인왕산을 배경으로 아름다운 연못 풍경이 펼쳐진다.

넓은 연못에서는 뱃놀이를 즐겼다.

동으로는 교태전, 강녕전, 사정전, 근정전에 이르는 구중궁궐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경회루는 연산군에게 쾌락의 공간이었다. 연못 서쪽에 만세산이라는 인공섬을 만들고

경회루 아래층에는 비단 장막을 치고 전국에서 뽑아 올린 기생들에게 춤과 노래를 하게 했다.

이중 특별히 선발된 기생을 흥청’이라 했는데 연산군은 황룡주에 흥청을 태우고 연꽃 사이를

누비며 패덕한 생활을 일삼았다. 재물을 마구 써버린다는 흥청망청 이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다.

 

경회루는 우리나라 건물 중 잡상이 가장 많다. 추녀마루에, 열한 개나 자리하고 있다..

잡상은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놓이는 와제(瓦製) 토우다

조선시대 궁궐에서는 잡상이 나쁜 기운을 물리쳐준다고 믿고 지붕 이에 토우를 만들기 시작했다.

보통 지붕의 가장 높은 용마루에는 하늘에서 가장 센 독수리가 지키고 있고 그 아래는 용의 머리가 놓여있다

물에 사는 용을 상징하는 용두는 불로부터 건물을 지켜주는 역할을 한다.

용의 머리 아래로 홀수 개수로 놓인 잡상은 원숭이부터 해치, 봉황 등 다양한 동물의 모습을 하고 있다

경회루는 목조 건축물로 화재에 취약하다.

화마를 막기 위해 성스러운 청동용 한쌍으로 2마리를 중건할 당시 넣었던 청동용 1마리가

1997년 11월 준설공사에서 연못의 북쪽 하향정 부근에서 발견이 되었다.(고궁박물관 소장)

 연산군 때에는 연못 안 인공섬에 만세산을 조성하고, 그곳에 월궁을 꾸며 조화를 장식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화재로 모두 소실되었다

경복궁은 외부. 내부를 가릴 것 없이 모여든 외국관광객으로 초만원이다

10월 하순에 다녀왔는데 꽃사진 단풍사진에 밀려 이제야 올립니다

 

'서울.경기.강원.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효창공원  (0) 2024.11.23
경복궁 향원정과건청궁  (34) 2024.11.18
경의선 숲  (26) 2024.11.15
마곡 서울식물원 2  (39) 2024.11.13
마곡 서울식물원  (0) 2024.1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