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엽산 자락에 있는 광릉은 제7대 세조(1417~1468)와 정희왕후(1418~1483)의 능으로 면적만 무려
249만 4,800제곱미터에 달한다
광릉 숲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지정되었는데 식물 865종, 곤충 3,925종, 조류 175종 등
모두 5,710종의 생물이 산다. 여기엔 흰 진달래 등 특산 식물과 장수하늘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단위 면적당 식물 종 수는 헥타르당 38.6종으로 설악산 3.2종, 북한산 8.9종을 크게 웃돈다.
곤충도 175.2종으로 설악산 4.2종, 주왕산 12.3종보다 많으며 우리나라에서만 사는 크낙새
(천연기념물 제11호)도 이곳에 있다.
이처럼 생물이 풍부한 이유는 무엇보다 인간 활동이 집중되는 온대 중부 지역에서 이례적으로 장기간
숲이 보전되었기 때문이다. 광릉 숲은 왕릉의 부속림이므로 일반인의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했고,
일제 강점기에도 임업 시험림 구실을 해왔으므로 개발과 훼손을 피할 수 있었다 현재 임시개방을 했다
세조는 태종 17년(1417) 세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세종 27년(1445) 수양대군에 봉해졌다.
세종의 뒤를 이은 병약한 문종은 자신의 단명을 예견하고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남지, 우의정 김종서
등에게 어린 왕세자가 등극했을 때 그를 잘 보필할 것을 부탁했다. 그러나 수양대군은 권람, 한명회 등
무인 세력을 거느리고 야망의 기회를 엿보다가, 단종 1년(1453) 김종서의 집을 불시에 습격해 그와
그의 아들을 죽였다.
이 사변 직후에 수양대군은 "김종서가 모반했으므로 주륙 했는데, 사변이 창졸간에 일어나 상계(上啓)할
틈이 없었다"라고 사후에 임금에게 아뢰었으며, 곧이어 단종의 명이라고 속여 중신을 소집한 뒤 사전에
준비한 생살 계획에 따라 황보인, 이조판서 조극관 등을 궐문에서 죽였다. 이를 계유정난이라 한다.
이후 좌의정 정분과 조극관의 동생인 조수량 등을 귀양 보냈다가 죽였으며, 수양대군의 친동생인 안평대군도
강화도에서 사사했다. 이후 실권을 잡은 수양대군은 1455년 단종으로 하여금 양위하게 하고 왕위에 올랐다.
정자각
남양주광릉(南楊州光陵)은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조선 제7대 왕 세조와 정희왕후의 동원이 강릉이다.
세조의 유언대로 석실과 병풍석을 폐지하고, 석회와 모래 · 황토를 섞어 회격을 만들고 난간석만으로
치장한 첫 사례이다. 또 왕과 왕후의 능이 같은 능역에 각각의 언덕으로 형성된 동원이 강릉으로, 삼년상
동안에만 가정자각을 세워 각각 제례를 지내지만, 기간을 마치면 정자각을 두 능의 중심에 옮겨 짓고
합하여 제향 하도록 규례를 정하였다.
세조 수양대군릉
비가 내리고 안개가 끼어 사진이 흐린 점 양해 바랍니다
정희왕후릉
단종은 작은아버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으로 물러났으나, 세조의 처신에 반대해 상왕을
복위하려는 사건이 일어나자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영월 청령포로 귀향 갔다.
세조가 왕권을 강제로 빼앗았다고 생각한 신하들은 세조에게 충성을 거부했다.
박팽년은 충청감사로 있을 때부터 공문에 '신(臣)'이라는 단어를 쓰지 않음으로써 세조를 왕으로 섬기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고, 성삼문은 "하늘에 두 태양이 없고 백성에겐 두 왕이 없다"라고 하며 세조의 녹을
먹지 않겠다고 했다. 유응부는 가혹한 고문에도 끝내 굴복하지 않았으며, 이개와 하위지도 불사이군의 정신으로 갖은 고문에도 늠름한 태도를 보였다.
단종을 향한 충성심을 꺾지 않자 세조가 이들을 잔인하게 처형해 역대 왕 중에서 가장 냉혈한이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세조에 대한 후대인들의 역사적 평가는 팽팽하다. 조카 단종의 왕위를
빼앗고 죽여버린 냉혹한 야심가라고 혹평하는 학자도 있지만, 그의 치적에 괄목할 만한 것이 많다고 인정하는
학자도 있기 때문이다.
왕이 되었다고 만사가 세조의 뜻대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세조는 어린 조카의 왕권을 찬탈했다는 죄책감에 시달렸는데, 단종의 어머니이자 형수인 현덕왕후의
혼백이 꿈에 자주 나타났고 어느 날은 세조의 얼굴에 침을 뱉었다.
세조는 침을 피하려고 몸을 돌렸지만 등에 맞고 말았다.
그 뒤로 세조는 침을 맞은 부위에 등창이 나 평생 고생했다.
개미취
이곳은 은행나무는 아직 푸르르고 단풍나무만 약간 물들어가고 있다
광릉제실풍경
주차장 주위에는 이렇게 붉은 단풍나무가 곱게 물들어가고 있었다
제실 앞 가로수 단풍
우단일엽초
양치식물 고란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상록성으로, 근경은 가늘고 지름이 약 2mm이며, 길게 기고, 잎이 드문드문 붙으며, 인편에 덮인다.
인편은 비스듬히 나고, 갈색, 흑갈색이며 선형, 끝이 길어져 실마리와 같고, 길이가 4∼5mm, 가장자리에
드문드문 거치가 있다.
엽신은 선형, 단순하고, 길이가 3∼8cm, 폭이 2∼5mm이고 끝이 뭉뚝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밑쪽
또는 중앙부에서부터 밑쪽이 점차적으로 좁아지고, 자루는 없고, 두꺼우며, 중륵 뒷면을 제외한 전면에
적갈색, 연한 갈색의 별모양의 털이 많이 있다. 포자낭군은 중륵을 따라 양쪽에 1줄로 붙고, 잎의 위쪽
1/3∼2/3에 붙는데, 각각 근접해 있으나, 연속하지는 않으며, 타원형 또는 원형이다
* 일반 일엽초와 다르게 솜털처럼 털이 나 있어서 "우단"이라 부른다.
은행나무들이 많이 있으나 유독 이 은행나무만 노랗게 물들어 있다
숲 속에 단풍나무도 곱게 물들어가고
시내에는 달뿌리 풀이 가득 메우고 있다
광릉수목원으로 가는 도로변의 단풍 비는 내리고 있지만 많은 비는 아니고 바람도 없어
우산을 쓰고 광릉숲에서 광릉수목원으로 이동을 한다
블친님들께서 아침고요수목원에 댓글을 달아주셨는데 글이 통째로 날아가버렸습니다
답글까지 전부 날아갔는데 제 실력으로는 불러올 길이 없습니다
해량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비/김세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