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공주 마곡사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本寺)이다. 이곳의 물과 산의 형세는 태극형이라고 하여 『택리지』·『정감록』 등의

 여러 비기(祕記)에서는 전란을 피할 수 있는 십승지지(十勝之地)의 하나로 꼽고 있다. 절의 창건 및 사찰명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번째 설은 640년(선덕여왕 9) 당나라에서 귀국한 자장(慈藏)이 선덕여왕에게서

하사받은 전(田) 200결로 절을 창건하기 위한 터를 물색하다가 통도사(通度寺)·월정사(月精寺)와 함께 이 절을

 창건하였다고 한다.

자장이 절을 완공한 뒤 낙성식을 할 때 그의 법문을 듣기 위해서 찾아온 사람들이 ‘삼대[麻]와 같이 무성했다’고

 하여 ‘마(麻)’자를 넣어 마곡사라고 하였다는 설이 있다. 두번째 설은 신라의 승 무염(無染)이 당나라에서 돌아와

이 절을 지을 때 스승인 마곡보철(麻谷普徹)을 사모하는 뜻에서 마곡사라고 하였다는 설과, 절을 세우기 전에 이곳에

 마씨(麻氏) 성을 가진 사람들이 살았기 때문에 마곡사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창건 이후 이 절은 신라 말부터 고려 초까지 약 200년 동안 폐사가 된 채 도둑떼의 소굴로 이용되었던 것을 1172년(

명종 2)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이 제자 수우(守愚)와 함께 왕명을 받고 중창하였다. 보조가 처음 절을

 중창하려고 할 때 도둑들에게 물러갈 것을 명하였으나 도둑들은 오히려 국사를 해치려 하였다. 이에 보조가 공중으로

 몸을 날려 신술(神術)로써 많은 호랑이를 만들어서 도둑에게 달려들게 하였더니 도둑들이 혼비백산하여 달아나거나

착한 사람이 되겠다고 맹세했다고 한다.

도둑들에게서 절을 되찾은 보조는 왕에게서 전답 200결을 하사받아 대가람을 이룩하였다. 당시의 건물은 지금의 배가

 넘었으나 임진왜란 때 대부분 불타버렸다. 그 뒤 60년 동안 폐사가 되었다가 1651년(효종 2)에 각순(覺淳)이 대웅전과

 영산전·대적광전 등을 중수하였다. 일제 강점기의 31본산(本山)시대에는 도내 100여 사찰을 관장하는 본산이 되었다.

 

또한 이 절은 김구(金九)와 인연이 깊은 사찰이다. 한말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일본인 장교 쓰치다(土田壞亮)를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 나루에서 죽인 김구는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를

가장하며 살았다. 지금도 대광명전 앞에는 김구가 심은 향나무가 있는데, 그 옆에 ‘김구는 위명(僞名)이요 법명은

 원종(圓宗)이다’라고 쓴 푯말이 꽂혀 있다. 현재 이 절은 충청남도 70여 개 말사(末寺)를 관장하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극락교(極樂橋)를 사이에 두고 보물 제801호인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과 보물 제800호인 공주 마곡사

 영산전(靈山殿), 보물 제802호로서 천장의 무늬가 아름다운 공주 마곡사 대광보전(大光寶殿), 강당으로 사용하는

 흥성루(興聖樓), 해탈문, 천왕문, 16나한과 2구의 신장을 모신 응진전(應眞殿), 명부전이 있으며, 응진전 맞은편에는

 요사채인 심검당(尋劍堂)이 ㄷ자형으로 크게 자리잡고 있다.

 

또 영산전 옆에는 벽안당(碧眼堂)과 매화당(梅花堂)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염화당(拈花堂)·연화당(蓮華堂)·

매화당(梅花堂) 등 승려가 거처하는 요사채가 매우 많다. 이들 건물 중 영산전은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서 조선

 중기의 목조건축 양식을 대표할만한 것이다. 그 현판은 세조가 김시습(金時習)을 만나기 위해서 이 절에 왔다가 만나지

못한 채 돌아가면서 남긴 필적이라 한다.

또 대웅보전은 1651년에 각순이 중수한 것으로, 현판은 김생(金生)의 글씨라고 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특이한 2층 건물로

조선 중기의 사원건축 양식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가치가 있는 문화재이며, 건물의 기둥을 안고 한바퀴 돌면 6년을

장수한다는 전설이 전한다.

 

이 밖의 중요문화재로는 보물 제269-1호로 지정된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1과 보물 제270호로 지정된 감지금니

묘법연화경 권6, 보물 제799호로 지정된 공주 마곡사 오층석탑, 보물 제1260호 공주 마곡사 석가모니불괘불탱,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20호인 마곡사 동제 은입사향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2호인 마곡사 동종 등이 있다.

이 중 오층석탑은 풍마동다보탑(風磨洞多寶塔)이라고도 하는데, 인도에서 가져온 것이라고도 하나 라마교 탑과

비슷하여 원나라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 탑은 임진왜란 때 무너져 탑 안의 보물들이 도난당한 지 오래이나

 1972년에 수리할 때 동제 은입사향로와 문고리가 발견되었다. 이 탑은 전 국민의 3일 기근을 막을만한 가치가 있다는

전설이 있으며, 한국·인도·중국 등 세계에서 3개밖에 없는 귀중한 탑이라고 한다.

 

이 밖에도 대광보전 마루에는 나무껍질로 만든 30평 정도의 삿자리가 있다. 이 자리에는 다음과 같은 설화가 전한다.

조선 후기에 이름 없는 앉은뱅이가 이 절을 찾아와서 부처님께 백일기도를 드렸다. 그는 불구를 고치기 위해서

 백일기도하는 동안 틈틈이 이 삿자리를 짰다. 이 삿자리는 참나무를 한 끝에서 잇고 또 이어 한 줄로 완성한 것인데,

그는 이 자리를 짜면서 법당에 봉안된 비로자나불에게 자신의 불구를 낫게 해줄 것을 기도하였다. 백일 뒤 일을 다 끝내고

 밖으로 나가는데 자신도 모르게 일어서서 법당문을 걸어나갔다고 한다.

 

부속암자로는 심정암(深淨庵)·부용암(芙蓉庵)·북가섭암(北迦葉庵)·토굴암(土窟庵)·백련암(白蓮庵)·영은암(靈隱庵)·

대원암(大願庵)·은적암(隱寂庵) 등이 있다. 이 절은 ‘춘마곡추갑사(春麻谷秋甲寺)’라는 말이 전해질 만큼 봄 경치가

 뛰어나다. 백련암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특히 빼어나며, 북가섭암의 바위 뒤에 있는 천미장군수(天米將軍水)는 뛰어난

 약수이다. 또 마곡사 앞 냇가 암벽에는 부여 고란사에만 있는 것으로 알려졌던 고란초가 자생하고 있다.

                                      마곡사의 정문으로서 이 문을 지나면 속세를 벗어나 불교 세계를 들어가게 되며 해탈을

                                      하겠다는 마음을 갖게 된다고 하여 해탈문이라 한다 중앙 통로 양편에 금강역사상과

                                      보현 문수 동자상을 모시고 있다 고종1년(1864년)에 중수하였다는 기록르로보아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천황문:천황문은 해탈문에 이어 마곡사의 두번째 대문으로 조선 후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건물 안쪽에는 동서남북의 불법을 수호하는 호법신인 사천왕상이 안치되어있다 사천왕은

                                 천상계의 가장 낮은 곳인사천왕천의 동서남북 네 지역을 관할하는 신적 존재로 부처님이

                                 계신다는 수미산의 중턱 사방을 지키면서 인간들이 불도를 따라 사는지 살피어 그 들을

                                 올바르게 인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아래 흥성루는 스님들이 수도정진하는 곳

                                                      사천왕 문에서 본 사찰로 들어가는 다리에서 인증도하고

                                                                 종루가 딴 사찰에 비해서 우람하게 지어졌다

 

                           오층석탑:이탑은 고려말기에 원나라 라마교의 영향을 받아 세워진 탑으로 다보탑이라고도 불린다

                                        2층 기단위에 5층의 몸돌을 올린 후 머리장식을 올렸다 일층 몸돌에는 자물쇠를 새겼으며

                                        이층 몸돌에는 사방을 지키는 사방불을 새겼다 머리장식으로 라마탑에 보이는 풍마동

                                        장식을 두었는데 전세계적으로 희귀한 사례이다 대광보전 화재때에 원래탑재가 아닌 화강암으로

                                        보수한 곳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심검당이란 지혜의 칼을 찾는 집이라는 뜻으로 스님들이 일상생활을 하는 방이다 심검당이 언제

                         지어졌는지 알 수는 없지만 장조21년(1797년)에 보수공사가 이루어 졌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은 ㄷ 자형으로온돌방과 부엌 및 마루를 만들어 조선시대

                         상류층  가옥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있다 기둥은 네모 기둥과 둥근기둥을 혼합하여 세웠고

                         한편에는 효종5년(1654) 충청도 대흥의 안곡사에서 만들어진 마곡사 동종과 목어등이 있다

                         고방은 심검당 북쪽에 있는 2층으로된 창고이며 심검당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방 위층에는  조선시대 문신인 포저 조익(1579~1655)과 그의 셋째 아들인 송곡 조복양의

                         문집 목판인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등이 보관되어있다

                    대광보전:이건물은 대웅보전과 함께 마곡사의 본전이다 임진왜란때 불타 없어진 것을 순조 13년

                                 (1813)에 다시 지었다 건물 내부에는 진리를 상징하는 비로자나불이 동쪽을 바라보며

                                 모셔져 있으며 후불 탱화로 영산회상도(유형문화재 191호)가 봉안되어있다 내부 바닥에는

                                 참나무로 만든 돗자리가 깔려 있으며전면 창호에는 다양한 꽃살 무늬가 조각되어 있다

                                 대광보전은 안밖으로 구성과 장식이 풍부하고 건축 수법이 독특한 건물로 조선 후기

                                 건축사 연구에 귀한 자료가 되고있다

 

                                                                                         석가모니불 괘불 탱화

 

 

 

                   대웅보전:이건물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조선 효종2년(1651)에 각순대사에 의해 중수 되었다

                                중수기에는 대장전으로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언제부터 대웅보전으로 바뀌엇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외관상으로는 2층 건물 형태인 중층이나 내부는 하나의공간이다 건물

                                내부 중심에는 석가모니불을 좌우에는 아미타불과 약사불 (목조 삼세불상)을 모시고

                                있다 현존하는 전통 목조건축물 가운데 많지 않은 중층 건물로 목조 건축의 아름다운

                                조형미를 잘 표현하고 있다

 

 

                                                                                   목조로만 만들어진 조각품이 완전 예술이다

 

                                                                                스님들이 거처하는 생활공간

 

                                                                    큰스님이 기거하는 처소인듯

                         고방은 심검당 북쪽에 있는 2층으로된 창고이며 심검당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방 위층에는  조선시대 문신인 포저 조익(1579~1655)과 그의 셋째 아들인 송곡 조복양의

                         문집 목판인 포저유서 및 송곡문집 판각등이 보관되어있다. 위층으로 오르는 통나무 계단이

                         옛그대로 놓여있다

 

                             이건물은 부처님을 중심으로 부처님의 제자인 16나한을 모시고 있다 16나한은 중생에게

                             복을 주며 중생을 바른 법으로 인도하기를 원하는 성자를 말한다 철중3년(1852)에 중수

                             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건물 전면에만 창호를 달아

                              출입하도록 하고 남어지 삼면은 회사벽으로 마감한 특징이 있다

            이 절은 김구(金九)와 인연이 깊은 사찰이다. 한말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일본인 장교 쓰치다(土田壞亮)를

            황해도 안악군 치하포 나루에서 죽인 김구는 인천형무소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탈옥하여 이 절에 숨어서 승려를

            가장하며 살았다. 지금도 대광명전 앞에는 김구가 심은 향나무가 있는데, 그 옆에 ‘김구는 위명(僞名)이요 법명은

            원종(圓宗)이다’라고 쓴 푯말이 꽂혀 있다

 

 

                                                                                 응진전 뒷쪽으로 흐르는 마곡천

                                                                 조사전은 조사에대한 신앙을 기리기위한 전각

                                                                                       템플 스테이

 

 

                                이 건물은 지장보살과 염라대왕을 비롯한 시왕(十王)을 모신 곳으로 1939년에 건립되었다

                                 지장보살은 불교에서 구원의 상징으로 모든 인간을 교화시켜 성불하도록 인도하는 역할을

                                 맡은 보살이다 시완은 인간이 죽은 후에 지옥에서 죄가 크고 작음을 가리는 10명의 왕으로

                                 염라대왕은 그중의 다섯 번째 왕이다

 

 

                                                   어떤 연유에 의해서인지 부도 탑이 넘어져 있는데 그대로 방치

 

 

 

                                                                            주위 공사중인 팔각정도 담아보고

                                                                사찰입구의 카페에서 시원한 커피한잔하고

 

                                             부산역에 내리니 분수대가 시원하게 물을 품어 한컷 담아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