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직(金宗直, 1431년 6월~ 1492년 8월 19일)은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자 사상가이며, 성리학자, 정치가,
교육자, 시인이다. 자(字)는 계온(季溫)·효관(孝盥), 호는 점필재(佔畢齋), 시호는 문충(文忠), 본관은
선산 (善山, 일명 일선)이다. 세조 때에 동료들과 함께 관직에 진출하여 세조~성종연간에 동료, 후배
사림파들을 적극 발탁하여 사림파의 정계 진출 기반을 다져놓았다.
1459년(세조5년) 문과에 급제하여 출사하여 성종 초에 경연관·함양군수(咸陽郡守)·참교(參校)·선산부사(善山
府使)를 거쳐 응교(應敎)가 되어 다시 경연에 나갔으며, 승정원도승지이조 참판·동지경연사·한성부 판윤·공조
참판 형조 판서·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재지사림(在地士林)의 주도로 성리학적 정치질서를 확립하려 했던
사림파의 사조(師祖)의 한사람이자 중시조격이다. 그러나 세조의 즉위를 비판하여 지은 〈조의제문〉이
무오사화를 불러일으켰다. 조선왕조 수립 이후 성리학을 전승한 것은 길재, 권우였고, 사림파 출신으로 처음
조선정계에 진출한 이는 정몽주, 권근이었으나, 세조 이후 조선 조정에 본격적으로 출사한 것이 김종직과
그의 동료, 제자들이었으므로 김종직을 사림파의 실질적인 중시조로 간주한다.
김종직은 자신을 전별(餞別)하는 문인들을 '우리당'(吾黨)이라고 불렀는데 김종직을 종주로 삼았던
정치세력이 사림(士林)이다.이를 통상 붕당 정치의 시원으로 간주한다.
정여창, 김굉필, 이목, 권경유, 김안국, 김정국, 김일손 등이 모두 그의 제자였고, 조광조는 김굉필의
제자로서 그의 손제자였으며, 남효온과 남곤 송석충, 김전, 이심원 역시 그의 문하생이었다. 그는 세조의
찬탈을 비판하고 이를 항우의 초 회왕 살해에 비유한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지어 기록에 남겼으나 그자신은
1459년(세조 5년)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가 벼슬이 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점필재 김종직
영남학파의 증조
주소: 경북 고령군 쌍림면 합가1리
전화: 054-950-4022.010-3826-7221
개실마을은 영남학파 증조인 문충공 점필재 김종직 선생의 후손들이 350여 년간
동성마을을 이루고 있는 곳
마을 형성이 본격적으로 이뤄진 때는 1650년 경. 조선 10대 왕이었던 연산군(燕山君, 1476~1506) 시절,
성종실록을 편찬하던 중 사림파 김일손은 사림파의 거두 김종직의 ‘조의제문(弔義帝文)’을 사초에 포함시킨다.
결국 그것이 화를 불러 연산군과 그 측근들에 의해 사림파가 숙청돼 조선 첫 사화인 ‘무오사화’가 일어난다.
화를 입은 김씨의 후손은 이후 경남 합천군 야로에 살다가 5대손 김휘손이 경북 고령 쌍림면의 양천 최씨와
혼인을 하면서 개실마을로 와 정착하게 된다.
점필재 김종직은 이곳 종택에서 산 적이 없다.
그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았을 뿐이다. 밀양에 낙향 후 점필재는 그곳에서
초가집 하나 새로 짓지 않고 청빈하게 살았다고 한다. 더욱이 아들들이 일찍 죽고
늦게 얻은 막내 김호년(金蒿年)을 통해 가계를 이을 수 있었다.
종택 솟을대문
한국 가옥의 멋스러움이 그대로 드러나는 곳, 개실마을. 한옥을 둘러싸고 있는 돌담과 마을을 이루고 있는
기와지붕이 민속촌을 연상케 한다. 앞으로는 접무봉을 바라보고, 뒤로는 화개산을 등지고 있는 모습이
‘개실마을’이란 이름을 무색하지 않도록 해준다. 마을에 꽃이 많이 피고 골이 아름다워 ‘가곡(佳谷)’ 또는
‘개화실(開華室)’이라 불렀는데 음이 변해 ‘개애실→개실’로 불리게 됐다. 마을 내 가옥이 대부분
전통한옥이므로 개실마을을 둘러볼 때는 문화유산해설사의 설명을 들으며 여유 있게 둘러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무오사화의 직접적인 도화선은 김종직의 〈조의제문〉을 김일손이 사초에 실었던 일이었다.
1498년 실록청이 개설되어 〈성종실록〉의 편찬이 시작되자
〈조의제문〉이 세조의 즉위를 비방하는 것이라며 유자광은 김종직과 김일손이 대역부도를
꾀했다고 연산군에게 고했다. 이에 연산군은 김종직과 그의
문인들을 대역죄인으로 규정하였다. 이미 죽은 김종직은 대역의 우두머리로 관을 쪼개어 송장의
목을 베는 형을 받았다. 또한 김종직의 문도로서 당을
이루어 국정을 어지럽게 했다는 죄로 많은 사림들이 처형되거나 귀양을 갔다. 반면 무오사화를
주도한 유자광 등 훈구파는 권력기반을 굳히게
되었다.무오사화의 결과 신진사림파는 중앙정계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그러나 사림은
선조 대에 이르러서는 국정의 주도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Daum백과] 무오사화 – 다음백과, Daum
조의제문
운문체로 씌어졌다. 김종직이 1457년(세조 3) 10월 밀양에서 경산으로 가다가 답계역에서
숙박했는데, 그날 밤 꿈에 신인이 칠장복을 입고 나타나 전한 말을 듣고 슬퍼하며 지은 글이다.
서초패왕 항우를 세조에, 의제를 노산군에 비유해 세조찬위를 비난한 내용이다
이후 김종직의 제자 가운데 하나인 김일손(金馹孫)이 사관으로 있으면서, 이를 사초에 기록하여 스승을
칭찬했다. 1498년(연산군 4) 이극돈(李克墩)·유자광(柳子光)·노사신(盧思愼) 등이 왕에게 조의제문이
세조를 비방하는 내용이라고 알려, 김일손 등 많은 사림들이 죽고 김종직은 부관참시되는 무오사화가
일어났다
[Daum백과] 조의제문 – 다음백과, Daum
대문을 들어서면 보이는 사랑채는 1812년에 건립했을 것으로 추측되는데, 정면 5칸, 측면 2칸 총 10칸으로
구성돼 있다. 사랑채 뒤에는 안마당을 마주한 정침(거처하는 곳이 아니라 주로 일을 보는 곳으로 쓰는
몸채의 방이 있다. 정침 양쪽으로는 고방채와 중사랑채가 있어 종택은 전체적으로 터진ㅁ자형을 이룬다.
마당보다 사랑채가 높고 사랑채보단 안채가 높아 대문에 들어서면 맞배지붕이 열맞춰 서 있는 모양이 눈에
띄는데 이것은 “앞은 낮고 뒤로 갈수록 높아지는 전저후고(前低後高) 지형 때문”이라고 함
또한 안채 내부에 비해 좁은 입구는 전쟁 당시 적들의 눈을 속이기 위한 전협후광(前狹後廣)의 구조를
보여준다. 사랑채 툇마루에 올라 경치를 바라보노라면 접무봉의 봉우리와 솟을 대문이 평행을 이루고 있어
그 풍광 역시 장관을 이룬다.
사랑채 앞쪽으로는 툇마루를 둔 2칸 방이 있다. 또 툇마루를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전면이 개방된 대청이,
왼쪽으로는 앞뒤로 방과 작은 부엌이 있다. 막돌기단 위에 초석을 놓고 방주를 세웠는데 보통 사각기둥을
세우는 일반가옥과는 달리 다섯 번째에는 재실이나 궁궐 등에서만 볼 수 있는 둥근 기둥을 세운 것이
눈에 띈다.
서림각
점필재 사당
점필재 종택에서 눈여겨 볼 또 한가지는 ‘사당’이다. 김종직 선생의 불천위신주(不遷位神主)를 모신 사우(祠宇)로
선생이 국불천(학문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뛰어난 사람에 한해 대대손손 제사를 지낼 수 있도록 재실을 지어줌)으로
추대 받을 당시 지어졌으며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돼 있다.
점필재 김종직선생의 영정
이가옥은 농촌체험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택에서 남서쪽으로 약 100m 거리에 있는 도연재는 점필재 선생의 과업을 기리기 위해 지방 유림들이
세운 강학지소(講學之所)로 1886년 건립됐다.
도연재 역시 솟을 대문으로 돼 있으며 토석담장을 방형(方形)으로 둘렀다. 정면 5칸, 측면 2칸 총 10칸으로
점필재 종택 사랑채와 흡사하다. 일(一)자형으로 전면에 툇마루가 있고, 오른쪽으로는 전면이 개방된
대청이 시원하게 보인다
개실마을 입구에 들어서자면 관광객을 반기는 두 가지를 볼 수 있다.
김 씨 내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김씨세거비(金氏世居碑)를 비롯해
김씨5세효행사적비(金氏五世孝行事蹟碑), 병조참의기정김공유적비(兵曹參議佳亭金公遺蹟碑),
의사경기전참봉선은김공유적비(義士慶基殿參奉鮮隱金公遺蹟碑) 등 4개의 비석과 선비의
곧은 정신을 상징하는 대나무 숲이 그것. 대나무 숲에는 숨겨진 속사정이 따로 있다.
마을 주변에 간격이 촘촘한 대나무를 심어 산짐승이나 도둑들의 침입을 막아냈다고함.
연풍고가
개실마을에는 현재 총 62가구가 모여 살고 있다. 주민 평균연령은 60대 후반으로 158명 정도 된다.
마을에는 99칸에 달하는 집도 있었는데 6.25때 32칸이 불타 67칸이 남았다. 소실된 32칸은
현재 복원하여농촌체험장으로 사용하며 영농조합에서 운영하고 있다고함.위건물 영풍고가 사진참고
주민에의하면 앞산이 나비모양의 명당이라는데 나는 전연 무슨 감이 안온다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송림2길 70
죽유종택 솟을대문 과 태극기 (고령지방의 3.1만세운동의 근거지답게 오른쪽에는 태극기가 걸려있다)
유물관인 운양각에는 고문서류 7종 110매와 전적류 7종 12책(보물 제1203호)이 보관되어 있다.
고문서로는 재산과 노비의 분배기록인 분재기 18매와 관청에서 발급하는 문서로 개인이 요청할
경우 어떤 사실을 확인해 인정하는 문서인 입안문서 1매, 호구 관련 기록인
호적단자 21점, 오운과 후손들의 교지 85점, 오운이 별세한 후 광해군이 그의 죽음을 기리며
내린 제문 1점 등이 있다. 고창 오씨 죽유공파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흰벽으로된건물이운양각
[Daum백과] 죽유종택 – 임진왜란의 흔적, 김현우, 한국학술정보
운양각을 개방하지 않아서 대가야 박물관에 보관된것만 올려본다
송림리 마을 안쪽의 야트막한 야산 어귀에 남향하고 있는 종택 건물의 배치는 크게 안채를 비롯한 정침공간과
사당이 있는 제사공간으로 나뉜다. 정침공간에는 사랑채와 중사랑채, 유물관, 안채가 있다
백화당은 현여주인 성산여씨의 호라고한다
이렇게 낮은 굴뚝을보면 그집안의 겸손한 인품을 알게된다
배려 그시절 못사는세상 밥하는 연기사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게 굴뚝을 낮게 조성했다
종택의 입구에 있는 솟을대문을 지나면 정침 공간과 제사 공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오운의 위패가 모셔져 있는 사당은 1953년 무렵에 새로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불천위
나라에 큰 공훈이 있거나 도덕성과 학문이 높으신분에 대해 신주를 땅에 묻지 않고 사당에
영구히 두면서 제사를 지내는 것이 허락된 신위를 말한다
조선 중기의 학자·문신이자 의병장이었던 죽유 오운(吳澐)(1540∼1617)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이 지은 살림집이다.
오운은 임진왜란(1592)이 일어나자 곽재우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으며, 개인 문집인 『죽유문집』과
조선 중기 남인의 역사인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역사서인 『동사찬요』를 쓰기도 하였다.
죽유종택은 오운의 후손이 1700년대 말에 지어 죽유 오운을 기리고자 집의 이름을 죽유구택이라 하였다.
그 후 1906년에 고쳐 지었으나 1920년 대홍수로 이곳에 옮겨 왔다. 이때 사랑채만이 그대로 옮겨 왔고 안채를
비롯한 나머지 건물들은 새로 지은 것인데 특히 오운의 위패를 모신 사당은 1953년 경에 새로 지었다. 특히
이 죽유종택은 고령지역 3.1운동의 본거지였으며 한국전쟁 때에는 노동당 사무실로 쓰이는 등의 역사적 애환을
가진 곳이다.
송림리 마을 안쪽의 야트막한 야산 어귀에 남향하고 있는 종택 건물의 배치는 크게 안채를 비롯한 정침공간과
사당이 있는 제사공간으로 나뉜다. 정침공간에는 사랑채와 중사랑채, 유물관, 안태가 각각의 건물로 튼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 동쪽 경사진 곳에 목판을 보관하는 건물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 있다.
1906년에 지어진 사랑채는 이 종택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보이며, 앞면 4칸 가운데 오른쪽 2칸은 반칸
정도를 물려 툇마루를 형성한 후 온돌방으로 하였고, 나머지 2칸은 대청으로 하였다. 뒤쪽에 1m 정도를 더 내어
온돌방 뒤편은 벽장으로 사용하였는데, 특이한 것은 대청 뒤쪽도 골방으로 꾸민 것이다. 별도의 장식을 하지
않아 소박하지만 건실한 부재를 사용하여 중후한 느낌을 준다. 유물관에는 고문서류 7종 110매와 전적류 7종
12책(보물 제1203호)이 보관되어 있다.
죽유종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활약했던 오운의 학문적 자취와 임진왜란 당시 그의 나라를
구하고자 하는 마음이 깃들어 있는 곳이며 한말 계몽기와 일제시대에 민족의식을 깨우치기 위한 교육의
산실로서 활용되는 한편 고령지방 3.1운동의 발원지로서 그 의의가 있다.
주위에 매림서원이 있다는데 들리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안화리 산 1
파란 사각표시 바위에 그려진 그림입니다
이사진도 구별이 어렵지요
언제적에 찍었는지 모르지만 비교적 선명합니다
저는 눈이 어두어 도저히 암각을 볼 수 없어 이렇게 빌려온 사진으로 대신합니다
선사시대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문화재, 고령 안화리 암각화
안화리 암각화는 선사시대의 사람들이 암벽에 새긴 바위그림을 말한다. 가로 115㎝, 세로 90㎝의 바위 면에
쪼기 수법으로 3개의 그림을 새겨 놓았다. 먼저 U자형 반원을 기본으로, 좌우에 활모양의 선을 대칭되도록
그렸으며, 오른쪽 그림에는 작은 구멍을 팠다. 그림의 윗쪽 절벽의 바위 면에도 같은 종류의 그림이 2∼3개
더 있는데, 영일 칠포리 암각화와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해안에 살았던 사람과 내륙에 살았던 사람이 같은
의식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안화리 암각화의 역사적 의의
안화리 암각화는 고령 양전동 암각화 및 영일 칠포리(七浦里) 암각화와 수법이 유사한 점으로 보아 선사시대
이 지방의 해안인과 내륙인의 의식구조가 비슷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에 살던 선사인들이 신앙과 관련된
제의나 풍요다산을 기원하던 장소였기 때문에 그와 관계되는 내용을 암벽에 새긴 것으로 본다. 이 암각화는
선사인의 의식과 표현기법, 신앙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네비만보고 한참을 해메다가 겨우 찾았습니다
날도 더운데 계속 올라가야됩니다
고령군 고령읍 고아리 산 13-1
나에게까지 보여줄 환경은 아닌가봅니다 철문이 굳게 잠겨 있습니다
내부천장벽화
고령 주산(主山)근처 구릉 끝에 있는 10여 기의 무덤 중 하나로 벽화의 흔적이 남아있는 무덤이다.
동서길이 약 25m, 남북길이 약 20m의 봉분으로 된 활천장(궁륭식천장)을 가진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분)이다.
유물은 도굴되어 없고, 널방(현실)에는 동쪽에 부인의 관, 서쪽에는 남편의 관이 놓여있고,
바닥에 도랑을 설치하였다. 널방에는 벽화의 흔적이 약간 남아 있으나 알 수 없고,
천장돌에 분홍색·백색·녹색·갈색 물감을 이용하여 연꽃장식을 그렸다.
천장의 축조방법이나 바닥의 도랑 등이 백제지방 무덤 방식과 비슷하여
가야지방에 백제문화의 영향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고분은 고령읍 중심지로부터 남쪽으로 1.5㎞ 떨어진 표고 160m 높이의 산 동쪽자락에 위치한다.
이곳은 지산리 고분군이 입지한 주산의 남쪽 대산의 동쪽자락이므로 동고분군과는 별개이다.
이 지역에는 벽화고분외에 10여 기의 중·대형 봉토분이 하나의 소군을 이루고 있는데
이 가운데는 벽화분과 내부구조가 비슷한 횡혈식 고분이 1기 더 있다.
벽화고분으로 유명한 이 고분은 1963년 도굴로 인해 처음 알려지게 되었으며
1984년 보수공사시 이루어진 봉토조사와 내부구조 및
벽화의 정밀조사를 통해서 보다 세부적인 내용이 알려지게 되었다.
먼저 석실구조는 장축이 남북방향인 'ㄱ'자형 석실로서 연도는 현실 동벽의 연장선상에 있다.
현실과 연도의 벽은 할석으로 축조되었으며,
현실의 천정은 동·서 두 장벽을 상부에서 내경시켜 그 위에 4매의 개석을 덮은 터널형으로 만들었다.
연도는 현실보다 벽체를 낮게 수직으로 쌓고 7매의 개석을 덮어 편천정을 만들었다.
현실의 규모는 남북 길이 3.75m·동서 너비 2.82m·높이 3.12m.
연도는 남북 길이 4.82m·동서 너비 1.48m·높이 1.64m이다.
현실 바닥에는 남북방향으로 2개의 관대가 사이를 띄우고 같은 길이로 높이 9㎝ 가량 바닥 보다 높게 설치되어 있는데,
너비는 서쪽의 관대가 동쪽의 관대보다 약 40㎝ 가량 더 넓다.
벽화는 현재 대부분의 회벽이 박락되었으나 현실 천정과 연도 천정의 개석에
희미하게 남아 있어 벽화의 내용이나 기법을 일부 살필 수 있다.
현실 및 연도 천정개석에는 회칠을 한 위에 적색, 녹색, 갈색의 안료로 연화문을 그리고 있다.
연화문은 화방을 중심으로 8판의 대소 2종의 연화를 겹친 복합연화이며 화판과 화판 사이에 꽃술이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화방은 녹색, 화판은 주연부 윤곽을 밝은 적색, 꽃술은 갈색으로 칠했고 중심부는 백색으로 남겨두었다.
이러한 모양의 연화는 현실 천정에는 5개 이상,
연도 천정에는 11개 정도 그려져 있는데, 대부분 지워져 윤곽만을 볼 수 있다.
현실과 연도 벽면 전체에도 두껍게 회벽을 바른 위에 벽화가 그려져 있었으나 대부분 박락되고 일부 흔적만 남아 있다.
봉토는 동서직경 22m·남북 약 20m의 약간 타원형이며, 높이는 경사면에 축조된 관계로 전면에 7m,
후면에서 2.5m쯤 되는데 현실 바닥에서 봉토 정부까지의 높이는 6.5m 가량 된다.
이 봉토 기부를 따라 2단 축조의 호석이 돌려져 있어 봉토의 유실을 방지하고 있다.
퀸님글에서
'경북.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룡포 호미곶 (0) | 2017.11.27 |
---|---|
보경사와 청하계곡 (0) | 2017.10.22 |
고령 우륵 박물관 (0) | 2017.09.25 |
대가야 왕릉 전시관과 지산동 고분군 (0) | 2017.09.20 |
고령 대가야 박물관 (0) | 2017.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