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

오륙도에서 용소 웰빙공원까지

초하룻날 호남지방으로 눈 구경 가려고 했으나 장거리 운전 그리고 눈길 운전 자신이 없어

옆지기 제안으로 해변가 드라이브에 나선다

먼져 들른 곳이 오륙도 등대다

부산 갈맷길 소개 오륙도 그리고 유엔공원에서 태종대까지

부산 갈맷길 해운대 문텐로드에서 광안리 해수욕장 오륙도까지

오륙도의 방패섬과 솔섬

줌인해본 해양대학교가 있는 조도

좌측 주전자섬과 우측 태종대 등대

바람이 불고 차거운데도 낚시에 여념이 없는 강태공들

저뒤에 수리섬 송곳섬 굴섬이 겹처보이고 등대섬과 오륙도 등대도 보인다

스카이 워크는 오전 9시까지 출입제한인데 12시인데 아직까지도 해제가 않되고 있다

줌인해본 등대섬과 오륙도 등대

오륙도 밭섬에 등대가 개설된 것은 지금으로부터 70년 전인 1937년 11월이다.

1876년 부산항이 개항되고 나서 부산의 관문인 오륙도 앞으로 배들이 드나들기 시작하자 항구를 오가는

선박들의 길잡이가 필요해 등대가 세워졌다. 이 등대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국제 항구인 부산항을

드나드는 각종 선박이 반드시 지나야 하기 때문에 오륙도와 더불어 부산항의 상징으로 통한다.

 

오륙도 등대의 건립에 관하여 오륙도 등대는 당초 6.2m 높이로 건립됐다.

그러나 등대가 너무 낡아 보수가 필요해 현상설계 공모를 통해 1998년 12월 웅장한 모습으로 새롭게

태어났으며, 등탑 높이를 27.5m로 높이고 등대 내부에는 우리나라 주요 등대를 살펴볼 수 있는

사진 전시실을 갖췄으며 부산항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돼있다.

줌인한 영도와 봉래산

오륙도 S.K 아파트 나환자촌에서 공장지대로 변신했다가 다시 아파트로 변신을 했다

해녀들이 채취한 해산물을 판매하는 해녀촌

광안리 해수욕장과 해운대 송정 해수욕장은 패스 바로 오랑대로 왔다

오는도중 송정에서 여기까지 차가 엄청밀린다

오랑대에서 바라본 대변 앞바다

장승등대와 월드컵등대

오랑대와 오랑대 동해바다 여기가 일출 포인트인데 아침 9시까지 

일출명소들 모두통제 금년에는 일출을 보지 못했다

오랑대 일출

오랑대 끝 여기가 낚시 명당인가 보다 올 때마다 저기는 낚시꾼들이 있다

기기묘묘한 바위들이 모여있는 오랑대

여기 저 뒤에 조금 보이는 게 거북바위

용왕당

오랑대

오랑대는 ‘미랑대’라고도 부르는데, 지명과 관련해 정확히 알려진 설화는 없으나 옛날 기장으로 

유배 온 친구를 만나러 시랑 벼슬을 한 다섯 명의 선비들이 이곳에 왔다가 술을 마시고 즐겼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 밖에도 이곳에 오랑캐가 쳐들어와서 오랑대라고 불렀다는 설 등이

 전하고 있다. 오랑대는 일출 명소로 알려져 있어 사진 동호인들이 자주 찾는 곳이다. 

공원은 24시간 이용 가능하며, 해동용궁사에서 시랑대로 가는 암반 산책로를 따라가면 오랑대와 연결된다. 

주변에는 대변항, 오랑대, 송정 해수욕장 등이 있다.

 

저렇게 자기 이름을 알리고 싶을까 평평한 대만 있으면 저렇게 보기 흉하게

페인트칠을 해놨다

대변에서 매립지와 죽도를 잇는 다리

어업관리단은 1966년 수산청 어업지도관실로 출범하여, 동 서 남해 3개 어업관리단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동해어업관리단은 우리나라 바다 면적의 40%(174천K㎡)를 관할하며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우리 어업인의 안전을 보호하며, 어업질서 확립 등 어업을 감독하는 해양수산부 소속기관입니다.

 

국외적으로는 한·일, 한·중 어업협정사항을 이행하고 있고, 원양어선의 불법어업(IUU) 방지를 위한

조업감시센터(FMC)를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는 연근해 어업질서 확립 및 우리 어업인의 안전조정지도,

어업 간 분쟁 조정 등 어업관리의 종합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차량들은 줄지어 늘어서 있는데 정작 이런 가판대는 손님이 없어 썰렁하다

대변에도 이제 고층 건물이 들어서고 인구도 많이 늘어났을 것 같다

저기 늘어선 대형배들은 어업지도선 같다

월드컵 등대도 줌인해 보고

맑은 하늘에 솜털구름이 아름다워 한컷

매림지에서 바라본 대변 음식점거리

죽도에서 바라본 아난티 코브 리조트와 호텔

죽도 한때는 박동명의 별장으로 사용됐으나 지금은 문도 파손된 채로 있는 걸 보니

현재는 사용을 안 하는 것 같다

아직 다 건조되지 않은 생선을 팔고 있는데 주인들만 있을 뿐 손님은 없는 것 같다

우리는 여기서 바다장어 1kg 3만원에 샀다

해안도로로 계속 직진 여기 죽성마을에 왔다 월전마을에는 공간마다 말통으로 주차를 못하게

해놓고 호객행위를 하고 있어 꼴볼견이다 국가 땅이 지들 것인 것처럼 그냥 패스

죽성성당

부산 기장군 죽성리에 위치한 죽성성당은 2009년 SBS 드라마 ‘드림’을 촬영하기 위해 지어진

드라마 세트장이다. 오래 전 방영된 드라마는 잊혀졌지만 잘 만들어진 이 공간만큼은 기장을 찾는

여행객의 필수 코스라고 할 정도로 명소가 되었다. 성당 내부는 갤러리로 운영되고 있어서 운 좋게

전시일정과 겹친다면 뜻하지 않은 볼거리를 경험할 수 있다.

 

작은 어촌마을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 덕분인지 남다른 분위기를 간직하고 있다.

중세시대의 어느 바닷가 마을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은 풍경은 마치 한 폭의 그림 같다.

 죽성성당에서 가장 많은 이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곳은 마치 액자의 프레임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한 포토존이다.

액자 속으로 들어간 푸른 바다와 하늘이 더없이 아름다운 배경을 만들어 준다.

줌인해본 죽성리 해송

기장 죽성리해송은 5그루의 나무가 모여 마치 한 그루의 큰 나무처럼 보이는 노거수로 가지가 아래로 처져 

있어 해송 종류에서는 좀처럼 보기 드문 빼어난 수형을 가지고 있다. 

 

5그루는 각기 다르지만, 마치 한 그루의 나무처럼 아주 균형 잡힌 모습이다. 그중 한 그루는 300여 년 

가까이 지탱해 온 자신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땅에 의지하고 있는 듯한 모습이다. 

 

나무껍질은 거북등처럼 쩍쩍 갈라져 있는 모습이며, 나무줄기들은 하늘을 향해 뻗기도 하고 옆을 향하기도

 한다. 수관(樹冠)[나무줄기와 잎이 많이 달려 있는 줄기의 윗부분] 폭은 30m 정도이며, 높이는 20m, 

가슴 높이 둘레는 3.5m에 이른다.

작년 매화가 필 때 찾았던 해송의 모습

 

기장 죽성리해송 5그루는 작은 서낭당을 품고 있다. 그래서 마을 사람들에게 더욱 신성하고 특별하게 여겨져

 이곳에 오면 꼭 한 번씩 절을 한다고 한다. 실제 이곳은 400여 년 전 국가 기원제를 지내기 위해 세워진 

국수대가 있었다고 한다.

 

 국수대는 서해안과 이곳에만 있었던 것으로, 국가가 혼란에 빠졌을 때 안녕을 기원하는 제를 올렸던 곳이다. 

해방이 되면서 마을 사람들이 정월 대보름날 당제를 올리기 시작하면서 국수대는 국수당으로 불렸다.

국수대는 처음에는 돌무덤을 쌓고 그 주위에 여섯 그루의 곰솔을 심었다고 전한다.

 지금은 5그루의 곰솔만이 남아 있고 돌무덤은 사라졌으며 대신에 당집이 있다. 

동네 사람들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에 풍어제를 지냈을 뿐만 아니라 서낭신을 모신 국수당이 있어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장소로 사용하였다. 

월전마을 뒤 정자

해식으로 인해 마치 팬귄들의 행렬 같은 바위로 변모를 했다

해변가 바위동산에서 주위를 담으며 잠시즐기다가 자리를 뜬다

황학정

황학대

황학대(黃鶴臺)는 기장 오대(機張五臺) 중의 하나로, 기장과 인근 지역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며 시상을

떠올리던 곳으로 전한다. 1618년 고산 윤선도가 경원에서 이곳 죽성으로 이배되어 와 6년간이나

유배 생활을 하면서 시, 서, 제문 등 29수를 남긴 곳으로 전해진다.

입구의 석벽에 이곳 출신 진사 방치주(方致周)의 이름이 각인되어 있어 후손들이 제사를 올리는

곳이기도 하다.

용소공원이라 해서 내가 알고 있는 장안사가는 왼편 용소마을인 줄 알았는데

바로 기장읍에 있는 자그만한 저수지로 안내를 한다

저수지 둑에는 그네도 있고 쉼터가 있고 겨울이 아니면 휴식하기 좋은 곳이다

저수지에는 오리들이 많이도 서식하고 있었다

어린이 놀이기구도 있고 정자들도 많아 휴식하기 좋은 곳이다

그런데 조그만한 저수지에 웬어선?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 송도 해상 케블카와 복수초  (0) 2021.01.25
다대포 해변공원 가는길  (0) 2021.01.08
겨울의 낙동강변  (0) 2020.12.27
부산 황령산  (0) 2020.12.21
삼락생태공원  (0) 2020.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