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남.울산

김해 수로왕릉과 능소화

전설 같은 이야기 참고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가락국(가야국)의 시조. 42년(신라 유리왕 19년)에 가락국의 구간(九干)이 북쪽 구지봉에서 6개의 알이 들어

있는 금합을 얻었다.
그 6개의 알이 모두 사람으로 변하여 6가야국의 왕이 되었는데, 김수로도 그 중의 한 사람으로 키가 9척이며

제일 먼저 사람으로 변했기 때문에 수로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다.
그는 대가야국의 왕으로 추대되어 아유타국(인도에 있던 나라)의 공주 허황옥을 비로 맞았다.
치적이 많았고 장수하여 199년(신라 내해왕 4년)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김해 김씨의 시조이며, 신라 김유신은 그 12대손이다.


김수로왕은 가락국의 시조이며, 김해 김씨의 시조이다.
김수로왕의 탄생과 치적은 <삼국유사>에 실린 가락국기에 전해지고 있다.
가락 지역(경상남도 김해지역)에 촌장 아홉 명이 각각의 부족을 다스리고 있었다.
3월 어느 날 하늘에서 구지봉으로 가서 하늘이 내려 주신 왕을맞이하라는 소리가 들렸다.
촌장과 사람들은 구지봉으로 올라가 왕을 맞이하기 위해 하늘에 제사를 지내고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렸다.
그러자 하늘에서 붉은 보자기에 싸인 금빛 상자가 내려왔는데 그 속에 황금알 여섯 개가 들어 있었다.
얼마 뒤 이 알에서 남자 아이가 차례로 태어났는데 그 중 제일 먼저 나온 아이의 이름을 '수로'라고 하였다.
사람들은 수로를 왕으로 추대하고 나라 이름을 '대가락국' 또는 '가락국'이라고 했다.
나머지 다른 남자 아이들도 각각 5가야의 왕이 되었다.

이때가 42년(신라 유리왕19)이었다고 한다.
김수로왕은 다른 부족국가를 정복하여 금관가야를 세우고, 금관가야의 왕이 되었다.
그리고 관직을 정비하고 도읍을 정하여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48년에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인 허황옥이 파사 석탑을 가지고 바다를 건너오자 공주를 맞이하여 왕비로 삼았다.
수로왕은 왕위에 올라 157년간 나라를 다스리다가 죽었다.
수로왕은 허왕후와의 사이에서 여러 명의 왕자들을 두었는데, 그 중 일곱 명은 지리산에 들어가 운상원을

짓고 수행하여 부처가 되었고, 거등왕이 수로왕의 뒤를 이어 왕위를 이었다.

김수로왕은 199년까지 157년 동안 왕으로 있으면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고 전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 구체적인 사례는 알 수가 없다.
가야가 신라에 통합되면서 가야에 대한 수많은 자료들도 모두 사라졌기 때문이다.
김해 지방의 가야 유적지 발굴 현장에서는 고도로 발전한 문화 유물이 발견된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금관가야나 대가야도 독자적인 국가 체제를 갖추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 바다 건너 인도 아유타국의 공주를 왕비로 맞이한 것은 가야가 바다로도 진출했음을

알려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가락루

숭신각

1878년(고종 15) 수로왕의 신위를 모신 숭선전(崇善殿)의 현액을 내리고, 김씨·허씨 양성을 교대로 참봉을

맡게 했다. 이때 안향각(安香閣)·석양·비각 등이 설치되었으며 왕릉의 전면에는 가락루·연신루·회로당 등의

건물도 있다. 능역은 건물 15동 47칸, 임야 1만 5,170평이다.

사적 제73호. 원형봉토분으로서 봉분의 높이는 약 5m에 이른다.

이 능은 〈신증동국여지승람 新增東國輿地勝覽〉에 기록된 소재지와 위치가 부합되고 있어서 수로왕릉으로서의

신빙성을 더해준다.

이 왕릉은 신라말의 이 지역 호족인 충지(忠至), 고려시대 양전사인 조문선(趙文善)과 관련한 기적(奇蹟)을

보였던 바 영험이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580년(선조 13)에 경상도관찰사였던 허엽이 수축하여 상석·석단·능묘 등을 갖추었고, 1647년(인조 25)에는

능비를 세웠는데 '가락국 수로왕릉'이라고 새겨져 있다.

〈지봉유설 芝峰類說〉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왜군이 수로왕릉을 도굴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것에 의하면 "광 속이 무척 넓고 두골의 크기가 구리로 만든 동이만 했다.

손발이나 사지의 뼈도 매우 컸다. 널 옆에 두 여자가 있는데 얼굴이 산 사람과 같았고 나이는 20세쯤 되었다.

이것을 광 밖에 내다놓았더니 금시에 사라져 없어졌다고 한다.

아마 순장된 사람들일 것이다"라고 하여 순장묘일 가능성을 짚고 있다.

가락국수로왕릉

연신루

숭정각

김수로왕과 허황후

숭선전과 안양각

 

숭안전

 

수로왕릉 전경

전에 몇번 왔던 곳이라 대충 돌아보고 능소화가 피어 있는 경모문에 왔다

아직 11시도 않되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진을치고 있어 사진 담기가 어려워

어쩔 수 없이 초상권 침해를 하게 된다

능소화는 담장 넘어로 길게 내려 늘어트려진 모습이 더 아름다운데 아직 덩굴이

그렇게 뻗어 있지 않은 아쉬움도 있다

한 많은 능소화 / 김연옥

 

고독이 안개처럼 출렁이는 담장위에

 꽃 등처럼 달려있는

 적황색 능소화

 맑은 하늘 안고

 님 찾아 오는 날 위해

 늘 기도하는 모습,

 

 햇빛과 바람속에

말리는 젖은 마음

 기다림의 세월속에

 줄기마다 뿌리같은 덩쿨,

 높은 담장 위 까지

칭칭 감은 서글픈 미소

 

 비 바람이 부는 날

 적황색 치맛자락 뒤집어쓰고

 시들지 않은 채

 뛰어내리는 우아한 삶

 

그리움과 눈물이

 차곡 차곡 한으로 쌓인,

 아름다운 독을 품은

 한 많은 능소화

 

경모문 안쪽으로 들어가본다

배운 곳을 복습하는 것은 외우기 위함이 아니다

몇번이고 복습하면 새로운 발견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해야할 일부터 손을 대고 뒤로 미룰 수 있는 것은 마지막에 가서 하라

조그만한 호수공원 마치 궁궐의 정원처럼 잘 꾸며 놨네

여기는 연꽃도 몇송이 피는것 같고 봉오리도 보이고 연꽃 단지에 가니 아직이던데....

빨간 수련이 옹기종기 피어 있는 모습도 보이고

나오면서 분성산성도 담아보고

김해천문대도 담아보고

경모당 앞 넓다란 잔듸밭이 마음에 들어 다시 담아보고 이제 수로부인릉으로 발길을 옮긴다

'경남.울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낙동강 레일바이크  (0) 2021.07.18
김수로왕비릉(허황후릉)  (0) 2021.07.09
나도 수정초  (0) 2021.06.01
지리산 삼성궁과 청학동  (0) 2021.05.23
울산 국가정원의 꽃  (0) 2021.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