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순이면 꽃무릇이 피는데 함평 용천사 영광 불갑사 고창 선운사 정읍 내장사
함양 상림에 군락을 이루고 피고 있지만 꽃무릇만 보러 가기는 너무 멀고 부산 근교에는
김해 활천동이 가장 많이 피는 곳이다 제작년에는 제 때에 가서 보았고 작년에는
너무 일찍 가서 못 보았는데 금년에는 기대를 하고 찾았다
석산은 상사화와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우선 석산과 상사화에는 무릇이라는 공통된 별칭이 들어 있다.
석산은 가을 가재 무릇, 상사화는 개가재 무릇이라고 한다.
두 꽃을 언뜻 보면 아주 비슷한데, 특히 잎과 꽃이 함께 달리지 않는 것이 똑같다.
그러나 꽃 색깔이 달라서 석산은 붉은색이고 상사화는 홍자색이다. 백화 사전에서
상사화는 여름꽃이고 석산은 가을꽃이다
꽃무릇(=석산)은 수선화과 Lycoris속에 속하는 알뿌리 식물로 우리가 흔히 아는 상사화랑 한 집안 식물이다.
그래서 통상 상사화라고도 부르지만 그것은 속을 대표하는 명칭이기 때문에 굳이 전체를 통칭하여 부른다면
상사화류라고 불러야 맞다고 함.
석산(石蒜)은 서해안과 남부 지방의 사찰 근처에 주로 분포하고, 가정에서도 흔히 가꾸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사찰 근처에 많이 심은 이유는 이 식물에서 추출한 녹말로 불경을 제본하고,
탱화를 만들 때도 사용하며, 고승들의 진영을 붙일 때도 썼기 때문이다.
꽃무릇 전설
석산은 꽃대의 높이가 30~50㎝ 정도로 자라며, 반그늘이나 양지 어디에서나 잘 자라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품종이다.
피처럼 붉은 빛깔의 꽃과 달걀 모양의 비늘줄기가 가진 독성 탓에 ‘죽음의 꽃’으로 여겨져 왔는데,
그래서인지 꽃말도 죽은 사람을 그리워하는 ‘슬픈 추억’이다.
꽃은 9~10월에 적색으로 피는데, 크기는 길이가 4㎝, 폭이 0.5~0.6㎝로 끝부분이 뒤로 약간 말리고
주름이 진다. 열매는 상사화처럼 맺지 않는다.
수선화과에 속하며 가을 가재 무릇, 꽃무릇, 지옥 꽃이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한방에서는
비늘줄기를 약재로 이용한다.
석산의 비늘줄기는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독성이 있지만 이것을 제거하면
좋은 녹말을 얻을 수 있다. 원산지는 중국 양쯔강, 일본이다.
야간에 청사초롱 불 밝혀 분위기를 업시키는 것 같은데 밤까지 기다려야 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 다음에는 석양 무렵에 와서 야경도 보아야겠다
활천 꽃무릇을 담고 이곳 은하사로 왔다
가장 먼저 쥐손이풀을 만났다
쥐손이풀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고, 산과 들에 서식한다.
크기는 약 30~80cm이고 줄기에는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는 모양이고 꽃은 여름에 핀다.
꽃말은 ‘끊임없는 사랑’이다. 한방에서 관절염, 급성장염, 각막염, 복통, 해독 등에 약재로 쓴다.
다음 백과에서
새콩
들에 자라는 덩굴성 한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밑을 향한 퍼진 털이 난다. 줄기는 덩굴지어 자라서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가며, 길이 100-250cm이다.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난 꽃대에 6개쯤 총상 꽃차례로 피며, 연한 자주색이다.
화관은 나비 모양이다. 열매는 협과이며, 타원형으로 조금 휘어진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인도차이나, 히말라야 등에 분포한다.
은하사의 꽃무릇이다
활천동 꽃을 보다 이곳에 오니 꽃이 많지도 않지만 여기저기 흩어져 있어서
보는 기분도 심드렁이다
부지깽이
울릉도 취. 울릉도 쑥부쟁이라고 한다
은하사는 예전에 몇 번 포스팅을 했기에 오늘은 설렁설렁 돌아본다
저 종각은 아래층 나무기둥이 메타스 퀘이아 나무 같아서 신기하게 바라본다
맥문동도 이제 서서히 꽃을 접고 푸른 열매가 달리기 시작했다
신어산 바위군들 능선길은 육산에 가까운데 은하사로 내려오는 길은 가파르고
저렇게 암석지대라 내려오는데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대웅전 오르는 길과 오층 석탑
이곳에는 아직도 배롱나무꽃이 싱싱하게 피고 있다
은하사는 영화 '달마야 놀자'(2001, 박철민 감독, 박신양 정영진 김수로 출연) 촬영지로도 알려져 있다.
서림 사는 은하사의 옛 명칭이며 지금은 정현당이라고 한다
정현당은 스님들의 수행공간이며 그윽한 집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대웅전은 일반 다른 사찰과 달리 정면과 측면이 모두 3칸인 정사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안으로 들어서면
보관을 쓴 부처님이 온화하고 부드러운 미소를 짓고 계신다. 다른 절과 달리 대웅전에 석가모니불이 아닌
관세음보살상이 주존불(主尊佛)로 모셔진 곳이다.
가락국 초기에 김수로왕의 왕비인 인도 아유타국 공주 허황옥의 오빠 장유화상이 창건한 두 절,
서림사와 동림사다. 두 절 모두 가락국의 번영을 위하여 창건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찰의 창건 연대는 확실치 않으며 임진왜란 때 병화를 입어 조선 중기 이전까지 있던 건물은
모두 소실되었고, 1600년대에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금샘 노을님 글에서
대웅전 벽화
벽화(壁畵)는 은하사(銀河寺) 대웅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8호) 내부 벽면 전체에 그려져 있으며,
주제는 삼세불, 아미타 내영, 보살상, 신장상, 나한상, 도인상, 모란 등으로 총 32점이다.
전각 내의 좌우측 중심 벽화인 삼불회도와 아미타내영도는 다른 벽화 간에 기법상 차이가 있는데, 다른
벽화보다 시기가 다소 앞서는 것으로 보이며 조선 후기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세불 벽화는 대웅전 본존을 중심으로 좌측 벽면에 녹청 안료를 전체적으로 펴 바르고 석가여래 입상을
중심으로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를 좌우에 배치하였으며, 육신부는 백색으로 육신선은 주색선으로
묘사하였다.
그 옛날 수로왕비가 되고자 머나먼 항해를 해 온 허황옥 공주, 그 항해 길에 함께 모셔 왔다는 장유화상과
파사석탑 그리고 인도 근동 지역의 전통문양인 신어 문양이 잊혀진 가야왕국의 불교문화를 증명해 주고 있다.
이 신어 문양을 보고 이 산의 이름을 신어산(神魚山)이라 지었다고도 한다.
대웅전 대들보에 아주 독특한 문양의 신어(神魚)가 있고, 부처님의 좌대 아래에 있는 수미단에도 있다.
둥근이질풀
왕이질풀·참쥐손풀·참 이질풀·조선 노관초·둥근 쥐손이라고 도 한다. 산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약간 있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꽃은 6∼7월에 연분홍색으로 피는데 지름 2cm 정도로 산형 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5개이고 달걀 모양이며 꽃받침 조각도 5개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동에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 털이 있으며 길이 3cm 정도이고 5분과(分果)로 열린다.
은하사 꽃무릇
새팥
귀여운 동자승들
만수국(프렌치 매리골드)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멕시코 원산이다 프랑스에서 원예종이 개발된 후 프렌치 매리골드라고 부른다.
허브식물로 꽃차는 눈에 좋은 성분인 루텐인 있어 인기 식물로 벌에 쏘였을 때 꽃잎을 문질러 바르면
붓지 않고, 꽃잎 침출 액을 달여서 복용하면 염좌나 상처, 눈병을 치료할 수 있다.
허브 차는 발한 작용이 있어 감기에 좋고 특유의 향이 병충해도 막아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