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문학관
아리랑문학관은 조정래 소설 『아리랑』의 원고와 시각자료를 전시한 문학전시관이다.
소설 『아리랑』은 조정래의 근현대사 3부작 중 도입부에 해당한다.
일제강점기 40여 년의 세월과 전라북도 김제를 시작으로 전 세계로 흩어진 이산(離散)의 과정 및 민족의
고난과 투쟁을 그리고 있다. 누적 판매 부수 330만 부를 기록한 소설 『아리랑』은 작가 조정래가
1995년 7월, 4년 8개월에 걸친 대장정 끝에 200자 원고지 2만 장에 이르는 총 12권으로 완성하였다.
설립목적
아리랑문학관은 작가 조정래(1943∼)의 대하소설 『아리랑』의 문학과 역사의 고장으로서 김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아리랑』에 담긴 문학정신과 역사의식을 보다 많은 이들과 공유하기 위해 2003년 5월 16일,
김제시 벽골제 박물관 단지 내에 건립되었다.
아리랑문학관은 부지 면적 약 11,570㎡에 건물 면적 422.49㎡ 규모의 지상 2층 건물이다.
전시실은 크게 3실로 구성되어 있는데, 1층 제1전시실에는 『아리랑』 주인공들의 험난한 대장정을 각 부의
줄거리와 함께 시각 자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원고지 2만 매에 이르는 조정래의 육필 원고를 전시해 놓았다.
2층 제2전시실에는 작가 연보와 작품 연보, 사진으로 보는 작가의 인생 및 취재 수첩과 자료 노트들이
전시되어 있다. 제3전시실은 가족사진 및 애장품 등을 통해 작가와 주변을 살필 수 있도록 꾸며져 있으며,
집필 당시 사용했던 필기구 등 106종 370여 가지 물품이 함께 전시되어 있다.
<아리랑문학관>이 위치해 있는 넓은 들판을 이곳 방언으로 '징게맹갱 외에밋돌'이라 부른다.
징게맹갱은 '김제와 만경'을, '외에밋들'은 '너른 벌판'을 말하는 것으로, 바로 김제와 만경 일원에 펼쳐져 있는
드넓은 평야지대를 의미한다.
김제 만경지대는 일제침탈기 제일 수탈이 심했던 지역으로, 이주 일본인들은 갑부로 살고, 조선인들은 전답을
다 빼앗긴 후 소작농으로 전락하여 지역민들은 가장 빈곤하게 살아야만 했던 곳이다.
'풍요로워서 서러웠던 땅'이라고 <아리랑문학마을>에서는 역설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아리랑문학관은 우리 근현대사의 수탈당한 땅과 뿌리 뽑힌 민초들, 그리고 항쟁의 이야기를 그린 소설
『아리랑』의 주 무대였던 김제만경(징게맹갱)의 상징성을 부여받아 세워진 문학관으로서 그 역사적
가치와 의의를 보존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문학관으로서 의의가 있다.
소설 [아리랑]은 일제강점기에 폭압에 맞선 인물들이 군산을 비롯해 만주·블라디보스토크·동경·하와이 등지로
옮겨서 40여 년의 시간 동안 수탈로 인해 전 세계로 이산할 수밖에 없었던 민초들의 수난과 항전을 그려낸
문학작품이자 역사로 평가받고 있고 징게맹갱 외에밋들은 대대로 우리 민족의 쌀창고였는데 바로 그 풍요로움
때문에 일제의 철저한 수탈 대상이 되었으며 역설적으로 그 시기를 증언하는 [아리랑]의 주 무대가 되었다
조정래는 <아리랑>을 쓰는 동안 수시로 찾아온 위궤양으로, 집필 막바지에는 우측 어깨와 손가락 통증으로
고행하였다. 특히, 집필 내내 협박전화로 인하여 신경을 많이 쓰고, 극우 반공 단체에 의하여 국가보안법
협의로 고소되기도 했다. 말로 형언할 수 없는 무수한 난관을 헤치고 집필 5년여 만에 원고지 2만 장 분량의
대하소설 <아리랑>은 탄생되었다.
소설의 전개 과정을 요약하여 흐름순으로 정리를 해놓아 조금만 시간을 내어서 들여다본다면 많은 것을
이해할 수 있다.<아리랑>은 12권의 대하소설이다.
한일합방이 일어나기 전인 1904년부터 1945년 8.15 광복까지가 시대적 배경이고, 김재 만경평야와 군산항
그리고 만주, 하와이, 중앙아시아 및 소련과 만주 국경 등 우리나라를 떠나 유랑민이 되어버린 유민들과
독립세력들의 발길이 닿았던 지역들이 지리적 공간에 속한다.
조선인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과정과 그 틈새를 노린 친일 매국노들의 행태가 기술되어 있고,
조국을 떠나 해외로 떠도는 상황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저항과 침탈이 그려지고 있다
만주와 하와이 등으로 이주한 한민족의 독립운동이 중점적으로 그려진다.
당시, 김제평야에서는 하시모토가 죽산면의 농토를 반 이상 차지하게 되는 상황이 전개된다.
일본에서 관동대지진이 발생하고, 무고한 조선인들이 무참하게 살해된다.
국내외에서는 공산주의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중심이 된 항일운동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지주 하시모토의
권력과 횡포는 날로 커진다.
만주에서는 일본군의 만주토벌대에 의하여 독립군들이 고난을 겪는다.
이 시기에 조선여자들은 정신대로 끌려나 나고, 마지막 저항을 하던 일본은 패망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만주에서 일본의 힘이 빠져나가고 공백이 생기자 이번에는 중국인들이 조선인들이
애써 일군 토지를 뺏기위하여 달려든다. 조선인들은 다시 유랑의 길로 나선다.
태백산맥과 아리랑을 쓰면서 보낸 15년의 시간을 "글감옥의 가출옥
작가 연보와 취재할 때 사용하던 용품, 취재수첩과 자료 노트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작가 조정래는 다른 나라로 떠나 유랑의 세월을 보내야 했던 한민족의 터를 찾기 위하여 중국 2번, 미국 3번,
일본 3번, 러시아 2번의 답사를 했다. 지구를 세 바퀴 이상 돈 발길이었다. 답사에 사용된 물품들
여권과 소지품들
작가의 말
취재하러 다닌 곳
아리랑 집필을 구상하다
집필
집필실
아리랑문학기행 안내도
작가연보
작품연보
소설 아리랑은 조정래가 쓴 대하소설중 하나로 일제강점기 당시 전라북도 김제를 배경으로 일본의 수탈과
우민화 교육'에 대하여 적나라하게 고발하고 있다. 일제에 협력한 친일 반민족 행위자에 대하 고발,
사회주의계 독립운동가에 대한 언급이 있다. 총 4부작으로 12권 단행본으로 되어 있다.
조정래는 집필 의도는 "일제 강점기에 치열하게 저항하며 수많은 고난을 끈질기게 버텨 낸 우리 민족의
역사를 바로 알게 함으로써 민족 자긍심의 회복에 있다"라고 했다.
<태백산맥>의 집필을 마친 후 1년여의 취재와 자료 정리 기간을 거쳐 1990년 12월 집필에 착수해
1995년 7월 탈고했다.
작가의 캐리커쳐
조정래작가의 망중한
아리랑필사본과 필사자 이름
아리랑 원고
현숙은 중풍과 치매를 앓던 아버지를 7년간 극진히 보살피고 의식이 분명치 않은 어머니를 14년간
지극정성으로 모신 공로로 효행연예인으로서 국민포장 2001년 효령대상 효행 부분상 2009년
제33회 삼성효행상 특별상등을 수상했다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3남 3녀 중 다섯째로 태어난 현숙은 학창시절, 동네 노래자랑에 참가해 생필품을
우승상품으로 받아오며 가수의 꿈을 키웠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세가 되던 1978년에 현숙(정현숙)은
가수가 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로 상경하였고 국민 작곡가 임종수의 스카우트로 가수에 데뷔하였다.
1976년 매니저이자 가수였던 김상범의 앨범의 B면에 〈끓고 있네〉라는 곡을 처음으로 취입하였고, 이후
《정답게 둘이서》라는 첫 독집앨범을 발표하게 된다. 현숙은 데뷔와 동시에 뛰어난 외모와 그녀만의 독특한
비음창법으로 대중들에게 시선을 끌었다
청해진 유민 벽골군 이주 기념탑
김란영 - 청산은 나를 보고(야망 o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