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충청.대전

운여해변과 안면암

                                  여기를 찾아가는데 네비가  가르키는 대로 가니 우마차와 경운기나 다닐수 있는 좁은길

                                  또 입구에 보니 운여해변 이란 이정표도 있어 진입했는데 조금 전진하니 승용차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길이다  빗물이 고여서 이리미끌 저리미끌 산속에서 구난차 불러야

                                  되는거 아닌가 걱정하며 더전진하니 겨우 차가 빠저나올수 있는 길이 나온다

                                  휴 살았다 돌아오면서 보니 비포장이지만 좋은 길이 있는데 아마 그길을 지나치니까

                                  네비가 또다른 길로 안내했나보다

                                 

 

 

 

                                                                                     방파제를 참 잘해놨다

                                                                   서해안의 해변들은 백사장이 넓기도하다

                       운여해변 방파제의 솔섬은 운여 근처까지 이어져 있었다는데 수년전쯤 한쪽이 파도에 쓸렸다고 한다.

                       이로 인해 밀물 때면 솔섬 안쪽으로 밀려들어 조그만 호수를 만들어 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진작가들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을 뿐더러 낙조 무렵에는 솔숲이 있는 방파제가 마치

                       섬처럼 보이게 되어 일몰과 함께 아름다운 풍경을 자아내게 되었다.

 

                       운여해변의 솔섬은 사진작가 마이클 케나 때문에 유명해진 강원도 삼척의 솔섬을 연상시키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 

                                    이사진과 아래두장 빌려온 사진 입니다 나도 이렇게 멋진 장면을 찍어봐야 되는데

                                    기술도 없지만 때를 못만나니 어쩌랴 진사님들이 잡은 반영이 너무 아름답다

 

                                                                                        운여해변에서 안면암으로 이동

                     안면도 안면암은 우리나라에서 바다를 내다 볼 수 있는 몇 안되는 사찰이다.
                     천수만과 앞바다에 여우섬이라 불리는 2개의 무인도가 있으며 큼 바위섬까지 약 100여m에

                     이르는 부교가 놓여 있는데 밀물 때를 맞추면 30분도 지나지 않아 물 위로 들린 부교 위를

                     걸어서 섬까지 다녀올 수 있고 썰물 때는 갯벌 체험을 할 수 있다. 절에서 바라보는 일출광경이

                     빼어나 일출명소로도 유명하다.

                         안면도 안면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 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다.
                         법주사 주지와 조계종 중앙종회 의원 등을 지낸 지명스님을 따르던 신도들이 1998년

                         안면도 해변가에 지은 절로 창건된지 얼마되지 않아 고색창연함이 없는 현대식

                         건물이지만 그 풍광이 빼어나 안면암을 찾는 이들이 많아졌다.

 

                                 경내는 공양처와 불자수련장, 소법당, 대웅전, 선원, 불경독서실, 삼성각, 용왕각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마침 썰물때라 밀물 때의 둥둥 떠 있는 부교를 제대로 느낄 수는 없었지만 
                               썰물때의 매력은 살아있는 갯벌을 몸소 체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부교를 조금만 걸어도 양 옆으로 펼쳐지는 갯벌에서 살아 꿈틀거리는 조개와 게, 망둥어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또한 안면암 부교와 여우섬과 조구널, 천수만의 풍광이 한 눈에 펼쳐진다.

                                                                                    안면암 부상탑

 

 

 

 

                                                                                     부상탑 내부

                       2개의 섬은 여우섬과 조구널섬이라 불리는데 '조구널'은 조기를 널어놓았다고 해서

                       그렇게 불려진단다.
  

                                       지금 물이 들어오고있다 2시간정도만 기두리면 물이 찰건데

                                      부교를 걸어나와 뒤를 돌아보면 안면암 전경이 제대로 보인다.

안면암에 왔으면 부교 체험을 꼭 해볼 일이다.
100여 미터 앞에 여우섬과 조구널까지 이어지는 부교가 만들어져 있어 
밀물과 썰물 때의 또 다른 느낌의 부교 체험을 할 수가 있는데 
썰물 때는 갯벌에 살고 있는 게와 조개, 망둥이를 직접 볼 수 있어 살아있는 갯벌체험이 가능하다.

 

 

                                                                  안면암 꽃피는 절

                                                      안면암 8부신장
                          1.천은 제바라고도한다
                              6도10계의 하나로 천항 혹은 천계를 의미하는데,불교에서는 세계의 중심에 있는 수미산 위의
                              27천 혹은 그곳에 거주하는 여러 신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고있다.
                              따라서 8부중의 천은 특정한 신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천부중의 총칭이라고 할 수있다,
                          2.용은 이룡왕 얼굴과 몸은 사람이고 꼬리는 뱀,
                             머리 위에 3-9개의 용머리 또는 뱀의 형상으로 표현한다
                         3.야차는 인도의 귀신이 불법 수호신이 되었다.
                             위덕,포악,귀인,사제귀로 번역,천,지,허공 야차의 세종류가 있으며
                            다문천의 권속으로 도리천을 수호한다.
                        4.건달바는 보래는 음악의 신으로,식향이라고도 한다.
                            술과 고기를 먹지 않고 향내를 맡고 산다는 뜻이다.
                        5.아수라는 호흡의 신으로,싸움을 좋아하여 항상 제석천과 맹렬히 싸운다고 한다,
                           얼굴이 셋,팔이 여섯이고, 손에는 칼을 들어 가장 무섭다고 한다.
                       6.가루라는 공상의 새인 금시조의 변형이다.
                          날짐승의 왕으로,날개 길이가 336만리이고 용을 잡아먹고 산다.
                       7.긴나라는 음악의 신이다.
                          사람인지 새인지 짐승인지 모습이 일정치 않다.
                       8.마후라가는 뱀신의 상징으로, 대망신,대복행으로 번역된다

 

 

 

                  안면도를 대표하는 사찰로 안면암이란 곳이 있다. 여행을 자주 다니는 사람들에게조차 이 이름이 낯선

                  것은 10년도 채 되지 않은 짧은 사찰의 역사 때문이다. 게다가 운치 있는 목조 건축물이 아닌 일반

                  시멘트 건물이라 분위기마저 조금은 어색하다. 그럼에도 한번 다녀온 사람들은 이 곳을 추천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이는 서해바다이면서도 동쪽 해안가에 위치해 아늑하고 한적한 느낌이 들뿐 아니라

,                 구도(求道)의 향내에 짭짜름한 갯내음이 어우러져 산사(山寺)에서 느끼는 것과는 또 다른 감동이 있기

                  때문 아닐까 싶다. 또, 태안군 관내 해수욕장 대부분이 모래갯벌인데 비해 이 곳은 시커먼 진흙 갯벌이

                  눈앞에 펼쳐져 있다는 것도 색다르게 다가오는 점이다.
                   
                          

                  안면암은 충남 태안군 안면읍 정당리 178-1번지 안면도의 동쪽 바닷가에 위치한 3층짜리 절이다.

                  1998년 법주사의 지명스님을 따르는 신도들이 지은 절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안면도 

                  해변가에 지어졌다. 안면암 입구의 소나무 숲은 안면도의 안면송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곳이다.

                  또한 안면암에서 바라보는 일출은 절경이라 많은 사람들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안면암 앞 바다에는

                  많은 무인도들이 펼쳐져 있다. 썰물때는 갯벌체험도 가능하며 특히 천수만을 바라보는 안면암에서

                  쌍동이섬인 여우섬까지 연결된 100여미터의 부교는 또 하나의 풍광을 연출한다. 밀물 때를 맞춰가면

                  부교를 건너 여우섬까지 걸어 갈 수 있다. 안면암의 일출 감상포인트는 6월경으로 쌍동이섬 사이로

                  떠오르는 해를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상깊게 느끼는 것은 안면암 바로 앞 바다 조기널섬까지 연결된

                 길이 230m의 출렁이는 부교에 후한 점수를 준다. 조기널섬에는 ‘검은돌 마을’로 불리는 정당4리의

                 마을 양식장이 있어서 주민들의 왕래가 잦은 편인데 밀물 때에는 접근할 수가 없다는 것이 그동안의

                 문제였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부교인데 지금은 부교 덕에 만조 때에도 섬에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 

                 조기널섬의 유래가 재미있다. 원래 조기널 섬에도 ‘물걸이살’이라고 하여 독살과 같은 기능의 살이

                 있었다. 독살이 돌로 만든 돌살인 반면 물걸이살은 나무로 만들었다는 것이 차이이다. 지금은

                 그 흔적만이 남아있지만 한 때는 마을의 중요한 어로 자원 중 하나였다. 이 곳에선 조기를 비롯하여

                 많은 양의 고기가 걸려들었는데 주민들이 소금을 가지고 들어가 즉석에서 절여 바위에 널어

                 말렸다고 한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 조기널이다. 이 곳 조기널 섬까지 이어진 부교 위를 걸어 들어가는

                 재미는 여느 놀이기구에 비할 바가 아니다. 긴장감과 청량감이 뒤섞여 짜릿함으로 온 몸에 다가온다.

                 다만 바람이 많이 불거나 기상이 좋지 않은 날은 위험하니 자제해야 하고, 어린이들은 반드시

                 어른과 동행하여야 한다     

 

                                                          안면암을 돌아보고 몽산포 해변으로 이동

 

 

                                                                         끝없이 펼처지는 몽산포 해수욕장

                          청포대 해수욕장과 연결되어 백사장의 길이가 끝이 안 보인다.
                          몽산포 해수욕장의 소나무숲은 전국 최상이다.
                          충남 태안군 남면 신장리와 달산리를 중심으로 펼쳐진 몽산포 해수욕장은 
                          태안 해안 국립공원 구역에 포함되어 있다.
                          백사장의 길이는 3.5㎞에 이르며 썰물 때면 3㎞ 폭으로 바닥을 드러낼 정도로 경사가
                          완만한 것도 특징이다.
                          이때의 조개와 맛잡이 역시 몽산포가 지닌 멋진 낭만이 아닐 수 없다.
                          피서철 해수욕장으로서 만이 아니라 겨울 바다의 정취도 물씬 풍기는 곳이다.
                          몽산포 해수욕장 남쪽에는 달산포 백사장이 있고 잇따라 청포대 해수욕장으로 이어진다.
                          청포대는 해안 길이가 7㎞나 되지만 해수욕장으로 이용되는 백사장은 1㎞ 안팎이다.
                         이곳은 백사장의 모래가 단단하여 자동차 경주가 자주 열린, 우리나라 오토 스포츠의
                         요람이기도 하다

 

                                                                           길게 펄처진 소나무숲 방풍림

                                                     몽산포 해수욕장 소나무 숲에는 야영객들이 많이 몰려있다 6월인데도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몽산리 석가여래좌상이 있어 잠시 들렸다

                                           얼굴이 심하게 훼손되어있다 머리부분이 유실된것을 찾아서 맞춰 놨지 않았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