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神興寺)의 말사이다. 865년(경문왕 5)에 도선(道詵)이
향도(香徒) 1,000명과 함께 이 절을 창건하고 삼층석탑과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을 봉안하였다.
『유점사본말사지(楡岾寺本末寺誌)』에 수록되어 있는 사적기에 의하면, 도선이 철조비로자나불상을 조성하여
철원의 안양사(安養寺)에 봉안하려고 하였으나, 운반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서 찾았더니 도피안사 자리에
안좌하고 있었으므로 절을 창건하고 불상을 모셨다고 한다
도선은 이 절을 800의 비보국찰(裨補國刹) 중의 하나로 삼았으며, 화개산이 마치 연꽃이 물에 떠
있는 연약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석탑과 철불로 산세의 약점을 보완하여 국가의 내실을
굳게 다지고 외세의 침략에 대비하였다고 한다.
오래도록 국가의 비보사찰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1898년 봄에 큰 화재로 전소된 뒤 주지 월운(月運)이
강대용(姜大容)의 도움을 받아 법당을 짓고 불상을 봉안하였으며, 승료(僧寮)와 누헌(樓軒) 등을 중수하였다.
6·25 때 소실된 뒤 주지 김상기(金相基)가 중건하였으며, 1959년에는 15사단 장병들이 법당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법당과 요사채가 있으며, 문화재로는 창건 당시 조성된 국보
제63호인 철조비로자나불좌상과 보물 제223호인 삼층석탑이 있다.
[Daum백과] 도피안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바위채송화?
철조 비로자나불좌상이 모셔저있는 대적광전
불두화
철원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鐵原 到彼岸寺 鐵造毘盧遮那佛坐像)은 강원도 철원군, 도피안사에
있는 남북국 시대에 철로 만든 비로자나불 좌상이다.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63호
도피안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로 지정되었다가, 2010년 6월 28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신라 48대 경문왕 5년(865년)에 제작되었으며, 머리에는 육계가 있으나 뚜렷하지 않고 불상의 얼굴은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얼굴처럼 생동감이 넘친다. 높고 안정된 이중 대좌(二重臺座) 위에 앉아 있으며,
불상의 높이는 91cm이다.
철불좌상 뒷면에는 신라 경문왕5년(865년)에 만들었다는 내용이 남아있음
극락보전이란 편액은 극락을 주관하는 아미타부처님을 모신 전각에 붙이는 이름 중 하나이다
안쪽에는 아미타부처님의 협시보살인 대세지보살과 관세음보살이 함께 모셔져 있습니다.
다른 사찰의 명부전에 해당되는 듯 합니다.
극락보전 오른쪽으로 아직 비어있는 기단이 있습니다.
안내도에 보면 대형 "통일기원 지장보살"이 있을 자리라고함
붓꽃
요사채
명품굴뚝
백당나무
털 개회나무인지 정향나무인지?
한국전쟁 때 철원은 격전지였고, 도피안사도 그때 소실되었다
그 후 철불이 발견되고 절이 새로 지어지게 되었다
그런데 절을 새로 짓게 된 사연이 흥미롭다
그 사연은 제15단장인 이명재 장군의 꿈에
불상이 나타나 땅속에 묻혀 있어 답답하다 말했고
다음날 전방시찰을 나갔다가 꿈에 나왔던 사람을 보고는 안내를 받아
찾아간 곳이 도피안사였다
이명재 장군은 장병들을 시켜 이곳을 수색하도록 했는데
그곳에서 땅속에 묻혀 있던 철불을 발견했다고 한다.
1950년 6.25 동란으로 완전히 소실된 것을
1957년 11월 육군 제15사단에서 복원한 후 군부에서 관리해 오다
1986년 사찰관리인이 민간으로 이관되었고
1988년부터 정부지원으로 절을 관리하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꽤나 높은산인데 무슨산일까(삽슬봉?)
도피안사를나와 어제 못들렸던 화적연으로간다
한탄.임진강 국가지질공원은 우리나라 최초로 강을 중심으로 형성된 지질공원으로 북한의 평강군에서 발원한
한탄강과 하류지역에 위치하는 임진강까지를 말한다. 한탄강은 약 50~13만년전 북한 평강군 일원에서
발생환 화산폭발로 형성된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현무암 협곡으로 주성절리,폭포 등 국내 최고의
지질명소라 할 수 있다. 특히 포천권역에는 11개의 지질명소가 분포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포천시 영북면
자일리에 있는 화적연은 2012년 11월 국가 명승 제 93호로 지정되었으며, 영평팔경의 제 1경이며,
포천 한탄강 8경중에 제 3경에 속할 정도로 풍광이 아름다운 곳이다. 화적연은 그 뜻이 볏단을
쌓아올린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다른 말로 벽가리소라고도 하며, 한탄강물이 휘돌아가면서 생긴 깊은
연못과 중생대 백악기 시대의 지질로 형성된 길이 13m의 거대한 화강암이 장관이다.
옛시대 금강산 길목에 자리하는 이곳은 많은 선비와 화가들이 지났던 곳으로 그 중에서도
면암 최익현 선생의 금강산유람기에 남긴 화적연이라는 시와 함께 조선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 겸재 정선의 해악전신첩 화적연이 이 지역의 역사적인 가치를 더한다.
그리고 화적연에서 남쪽으로 8km정도 거리인 관인면 중리 교동마을에 있는 교동가마소는
협곡의 모양이 가마솥을 엎어놓은 듯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곳에는 예전 후고구려를 세웠던
궁예가 옥가마를 타고와서 목욕을 했다고 전해지는 옥가마소와 용이 놀았다는 용소와 폭포소 등이 있다.
화적연(禾積淵)은 한탄강의 강물이 휘도는 아름다운 지형에 위치하고 있는 기암으로, 강물과
주변 석벽 및 자연식생이 함께 어우러져 비경을 이루고 있어 경관적인 가치가 높다.
하천이 휘돌아가며 형성된 깊은 연못(沼)과 그 수면 위로 거대한 화강 암괴가 13m나 솟아오르면서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짙은 색의 현무암 절벽과 밝은 색의 암주, 짙푸른 빛의 물이 서로
어우러져 훌륭한 자연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우뚝 솟아오른 화강암이 마치 볏단을 쌓아
올린 것 같은 형상이어서 화적(禾積)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화적연(禾積淵)은 한탄강변의 지형 경관 중에서도 뛰어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대보화강암(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을 뒤덮은 현무암층, 현무암 주상절리, 화강암 암반, 상류에서
공급된 풍부한 모래와 자갈 등 다양한 지형 요소들을 동시에 관찰 할 수 있어 지형적 가치가 높다.
'서울.경기.강원.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평 유명산 자연휴양림 (0) | 2018.08.26 |
---|---|
관곡지와 물왕저수지 (0) | 2018.07.28 |
한탄강 고석정 (0) | 2018.06.12 |
복주산 휴양림과 삼부연폭포 (0) | 2018.06.06 |
한탄강 지질공원 (0) | 2018.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