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북.대구

김천 직지사

 

직지사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이다. 〈사적기 事蹟記〉에 의하면

신라시대인 418년(눌지마립간 2)   아도화상(我道和尙)이 선산 도리사(桃李寺)를

개창할 때 함께 지었던 절이라고 한다.

 

절의 이름에 대해서는 아도화상이 도리사를 창건한 후 멀리 황악산 직지사터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저 산 아래도 절을 지을 길상지지(吉祥之地)가 있다고

하였으므로 하여 직지사(直指寺)라 이름했다는 설과,

성주산문의 조사(祖師) 무염대사가 머물렀던 심묘사에 부속된 절로

남종선의 가르침인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不立文字直指人心見性成佛)을

 표방한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려시대에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이 절을 세울 때 자[尺]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하여 지었다고 해서

직지사라고 했다는 설도 있다.

 

645년(선덕여왕 14) 자장율사가

중창한 이래로 930년(경순왕 4), 936년(태조 19)에 천묵대사(天默大師)와 능여대사가

각각 중창하여 대가람이 되었으며, 그리고 조선 중기에는 사명 대사(四溟大師)가

 본사(本寺)에 출가(出家)하여 신묵 대사(信默大師)의 제자가 된 것이 유명하거니와,

이로 인하여 직지사는 배불(排佛)의 그늘 속에서도 사운(寺運)을 유지할 수 있었다.
30세에 직지사 주지(主持)가 된 사명 대사는 이후 임진왜란(任辰倭亂)이 발발(勃發)하자

구국제민(救國濟民)의 선봉(先鋒)에서 큰 공을 세웠음은 너무나 유명하다.

이렇게 구국(救國) 사명 대사의 공로로 인하여 직지사는

조선(朝鮮) 8대가람(八大伽藍)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고,

300여 소속사암(寺庵)을 거느리게 되었다.

 

현재는 국내 25본산(本山) 가운데 하나로서 제8교구(第八敎區) 본사(本寺)이며

소속 말사(末寺) 54개 사찰에 이르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대웅전(1735 중건)을 비롯하여 천불이 모셔져 있는

비로전(1661 창건)·약사전·극락전·응진전·명부전·사명각(泗溟閣) 등이 남아 있다.

 

중요문화재로는 금동6각사리함(국보 제208호), 석조약사불좌상(보물 제319호),

대웅전앞3층석탑 2기(보물 제606호), 비로전앞3층석탑(보물 제607호),

대웅전삼존불탱화 3폭(보물 제670호), 청풍료앞삼층석탑(보물 제1186호) 등이 있다.

대양문

소나무 가지는 제멋대로

무슨 법회를 여는 것 같다

만세루 강당

공포는 건물 지붕의 무게를 분산 혹은 집중시켜 구조적으로 안전한 완충적 기능을 하기도 하고,

내부공간을 확장시키고 건물을 높여 웅장한 멋을 낼 뿐 아니라, 그 구성과 공작이 섬세하고 화려하여

장식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후불탱화는 영조 20년에 조성되었다. 중앙에 석가,좌우에 약사여래와 아미타불을 봉안 하였다.
후불탱화인 영산회상도(靈山會上圖),약사 불회도(藥師佛會圖),아미타불회도(阿彌陀會圖) 3점은

모두 보물 670호로 지정되었다. 내부 또한 아름다운  채색벽화로 가득하다.

 

중앙에 배치된 불화는 석가가 영취산에서 여러 불·보살에게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영산회상탱화이다.

화면의 중앙에 석가불이 있고 좌우에 8보살과 10대제자, 사천왕 등이 그려져 있으며 둘레에 많은 범문을

써 놓았다. 왼쪽 어깨에만 옷을 걸친 석가불은 악귀를 누르는 항마촉지인의 손모양을 하고 있다.

비교적 균형잡힌 체구와 둥근 얼굴에 부드러운 표정을 짓고 있으며, 머리광배와 몸광배를 세밀하게 그렸다.

왼편에 있는 약사회상탱화는 화면의 중앙에 약합을 든 약사여래가 앉아 있고 그 주위에 8대보살과

사천왕, 12신장 등이 에워싸고 있는 복잡한 구도이다. 본존불의 신체는 건장하고 당당한 모습인데

비하여 얼굴은 지극히 작은 눈과 입 등이 매우 단아하고 엄숙한 인상을 풍긴다. 이러한 모습과 등뒤의

물결무늬 원형광배, 옷의 문양표현 등이 18세기 불화의 시대적 양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오른편의 아미타회상탱화는 중앙에 아미타불을 두고 관음보살과 세지보살을 비롯하여 신장상 등이

주위를 둘러싼 이 세폭의 탱화는 영조 20년(1744) 세관, 신각, 밀기 등 10여명의 화승들이 그린 것을

염불도인 진기와 지영(智英)스님이 증명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짜임새 있는 구성과 뛰어난 묘사력,

안정감 있는 색감 등으로 당시 불화를 대표하는 걸작에 속한다.

 

탑을 청소를 깨끗이해서 건립한지 얼마 않되는 것 같다

직지사(直指寺) 대웅전(大雄殿) 앞에 동·서로 서 있는 2기의 석탑으로, 원래 경북 문경군(聞慶郡) 산북면(山北面)

서중리(書中里) 도천사(道川寺)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이 곳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두 탑 모두 각 부분의 양식이 같아서 1단의 기단(基壇)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리고 있다.

여러 장의 넓적한 돌로 짜여진 기단은 4면의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의 조각을 두었다.

 

탑신의 각 층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뚜렷한

기둥 모양의 조각이 새겨져 있다. 얇고 평평한 지붕돌의 밑면 받침으로 1·2층은 5단, 3층은 4단을 두었고,

수평을 이루던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경쾌하게 들려 있다. 꼭대기에 올려진 거대한 모습의 머리장식은

1976년 탑을 옮겨 세울 때 새로 만들어 장식해 놓은 것이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 석탑으로

높이는 약 9m이다. 

 

吾唯知足' 한자풀이

나 오(吾), 오직 유(唯), 알 지(知), 족할 족(足) "나 스스로 오직 만족함을 안다." 라는 뜻이다.

 

이 네 글자 모두 입 구(口) 자가 들어간다.

그래서 중간에 입 구(口) 자를 배치하고 오, 유, 지, 족 네 글자가 좌우상하에 배치되어 각각 글자가

모 여 1개의 글자를 이루고 있다. '나는 오직 족함을 안다.''나는 현재에 만족할 줄 안다.' 

'나는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한다 (쓸데없는 욕심을 버려라)' 나는 오직 만족한 줄을 안다. 모름지기

자신의 능력과 분수를 알고 적은 것(小欲)으로 만족할 줄 알아야 행복해진다는 뜻이다.

모든 것은 마음대로 되는 것도 아니고, 또 억지로 한다고 해서 되는 것이 아니듯, 모든 것이 순리대로

풀려야 하고, 모든 것이 진리대로 나아가는 것이다

사명대사는 경남 밀양에서 태어나 13세 때 황악산 아래 유촌마을(직지사 앞 상가 일대)의 황여헌 선생

(황희 정승의 증손자로 당대 석학) 문하에서 공부하다 양친을 모두 여의자 직지사로 출가하여 당시

주지인 신묵대사의 제자가 됐고, 18세에 승과에 당당히 장원급제한 뒤 불과 서른의 나이에 직지사

주지에까지 올랐다고 한다.

그리고 사명대사와 신묵대사와의 재미있는 만남 설화가 있다.

어느 날 신묵대사가 참선을 하던 중 꿈에 직지사 입구 천왕문 옆 은행나무에 황룡이 서려 있는 것을

보고는 깨어나 꿈에 본 장소를 가보니 한 소년이 잠을 자고 있어, 신묵대사가 소년의 사연을 듣고

거두어 제자로 삼았는데 이 소년이 바로 사명대사였다고 한다.

 

사명대사는 31세에 선종의 본산인 봉은사의 주지로 천거됐으나 이를 사양하고 묘향산의 보현사에

칩거 중인 휴정을 찾아가 교우하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승병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임란 후 3번이나

일본으로 건너가 수천명의 조선인들을 데려오는 탁월한 외교능력과 신비한 능력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비로전은 고려 태조 때 능여조사에 의해 처음 세워진 건물로 전해지고 있다. 이 건물은 임진왜란 때 병화를

모면한 3동의 건물 중 하나로 1707년 쓰여진 <直指寺千佛殿重創記>에는 비로전에 안치된 천불상은

1656년 景岑 스님이 처음 만들었으며,

 

비로전은 그로부터 5년 뒤인 1661년에 창건되었고, 1668년에는 機日 스님이 천불상과 별도로 5구軀의

불상을 조성하여 비로전 불단에 모셨으며, 이들 다섯 불상은 1707년 개금하였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명부전 관음전 약사전 향적전

광배와 불상을 하나의 돌로 만들었다. 불상의 머리는 민머리이고 정수리 부근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육계)가

큼직하게 표현되었다.

얼굴은 마모가 심해 세부 표현을 자세히 살필 수 없지만, 둥글고 풍만한 인상이다.

옷은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왼쪽 어깨에만 걸쳐 입고 있는데, 옷에는 평행 계단식의 무딘 옷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올려 손끝이 아래를 향하고 있고, 왼손에는 약항아리를 들고 있어서 이 불상이

약사여래상임을 알 수가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온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폭이 넓어 맵시있는 모양은 아니지만 덩클무늬와 불꽃무늬를

새겨 장식하였다.

 

전반적으로 세부표현이 둔감해졌으며, 광배의 무늬도 세련미가 줄어든 점으로 보아 통일신라 후기의

양식을 계승한 약사여래좌상으로 볼 수 있다.

이 불상은 현재 성보박물관에 모셔져 있으며, 상시 전시하고 있다.

 

현재 성보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5대 성보>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 319)

대웅전 앞 3층석탑(보물 606)

비로전 앞 3층석탑(보물 607)

대웅전 삼존불 탱화 3폭(보물 )조선 영조때 비단에 그려진 후불 탱화

청풍료(淸風寮) 앞 3층석탑(보물 1186)

안양루는 경주불국사 안양문, 김천직지사 안양루, 영주부석사 안양루, 서산개심사 안양루 등 사격이

제법 큰 전통사찰에서 볼 수 있는데 안양루, 안양문에서의 '안양(安養)'은 모든 일이 원만 구족하여

괴로움이 없는 안락한 이상향, 즉 ‘극락(極樂)이므로 안양문은 극락세계, 서방정토에 이르는 입구를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불법의 선양과 불자들의 수련을 위해 마련한 건물로서 일명 설법전이라고도 한다.설법전은 혜창 화상이

중건중에 있었으나 주지녹원 화상에 의하여 1987년 3월~1992년 6월 20일에 걸쳐 3층으로 신축된 건물이다.

각층 정면 11간,측면은 1·2층이 3간,3층은 2간의 팔작지붕으로 총 294.51평의 거대한 복합 건물이다.

본사의 공간 활용에 의하여 각층 다른 기능으로 건립된 건물이다. 즉, 1층 전관은 식당,2층 전관은

빈객접대를 겸한 11개의 방사를 시설했고,3층은 전체 설법전으로 구성되었다

폐기와로 정성들여 쌓은 국뚝

한쪽에 진열된 유물들

8년 만에 다시 찾은 직지사 몇 가지만 빼면 사찰은 거기서 거기다 대략 둘러보고 나온다

불자님들이야 믿음으로 다져진 마음이지만 우리내 무종교자들은 엄숙하면서도 무덤덤하다

불경소리마저 알아들을 수가 없으니 매번 들어도 도로아미타불이라는 말이되고 만다

 

'경북.대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연서원과 무흘구곡 1  (0) 2021.03.04
김천 방초정과 부항댐  (0) 2021.03.02
김천 강변조각공원과 직지문화공원  (0) 2021.02.25
첨성대와 분황사 황룡사터  (0) 2021.02.22
경주 신문왕릉과 오릉  (0) 2021.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