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경기.강원.인천

검룡소와 해바라기축제

황지연못에서 매봉산 바람의 언덕에 오르려고 했는데 이렇게 구름과 안개가 완전 산을 뒤덮어

어쩔 수 없이 통과 검룡소 쪽으로 진출(7/30)

여기서 조금 전진하면 삼수령으로 오르는 길을 만나게 되는데 통과 검룡소로 향한다

주차를 하고 검룡소  표지석을 지나고

전호나물인지 사상자인지 헤갈 린다 아시는 분 바로 잡아주세요

일단 전호나물에 빙점을 찍는다

 

짚신나물

쌍떡잎식물 강 장미목 장미과 짚신나물 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학명은 ‘Agrimonia pilosa Ledeb.’이다.

짚신나물이라는 이름은 식물에 달린 털들이 짚신에 달라붙어 신과 함께 여기저기를 여행했다는

데에서 유래했다. 또한 학명의 ‘agrimonia’는 ‘가시가 많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pilosa’는 ‘부드러운

털’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온 것이다. 서양에서는 한 왕이 독살의 위험에서 짚신나물을 먹고 살아났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고 있어 마법의 풀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검룡소에서 찬 물이 흐르면서 더운 공기와 접촉 수증기로 변해서 안개처럼 보인다

병조희 풀

병조희 풀은 강원도와 경기도의 비교적 높은 산 숲 가장자리나 숲 속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미나리아재비과 식물입니다. 키가 1m 내외밖에 자라지 않고 이름에 풀자가 들어있지만 낙엽

소관목으로 줄기의 아랫부분은 목질화 되며 윗부분은 겨울에 말라죽는다.

목통화, 목단 등, 선 목단 풀, 만사초, 담색 조희 풀, 동의 목단 풀, 동희 조희 풀, 병 모란 풀, 어리목단,

초본 여우 등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여우오줌 풀

중부 이북의 산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일본 혼슈 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굵고, 높이 80-150cm다. 잎은 어긋나며, 아래쪽 큰 것은 난형, 밑이 잎자루로 흘러서 날개처럼 된다.

줄기 가운데 잎은 도란상 긴 타원형, 위쪽 잎은 긴 타원상 피침형이다.

 

꽃은 8-10월에 가지 끝에서 머리 모양 꽃이 1개씩 피며, 노란색이다.

머리 모양 꽃은 지름 2.5-3.5cm, 암꽃으로만 된 것과 양성 꽃으로 된 것이 있고, 옆이나 밑을 향한다.

꽃 싸개 잎은 피침형,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모인 꽃 싸개는 반구형, 바깥쪽 조각이 꽃 싸개 잎과 비슷하다.

열매는 수과이며, 부리가 있고, 겉에 샘점이 있다. 약용으로 쓰인다.

검룡소(儉龍沼)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삼수동)에 있는 분출 수로 대덕산과 함백산 사이에 있는 금대봉(해발 1418m) 자락의

800m 고지에 있는 소이다. ‘민족의 젖줄’로 불리는 한강의 발원지로 알려져 있다.

 

검룡소는 497.5km에 이르는 한강의 발원지이다. 금대봉 기슭 제당굼 샘과 고목나무 샘, 물골의 물구녕

석간수와 예터굼에서 솟아나는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이곳에서 다시 솟아난다. 1987년 국립지리원

의해 한강 발원지로 공식 인정받았다.

 

전해오는 이야기

한강의 발원지로 알려진 곳이며, 금대봉의 왼쪽 산기슭에 있다. 검룡소의 전설은 서해의 살던 이무기

용이 되려고 강줄기를 거슬러 올라와 이곳에 머무르고 있다는 전설이 있다.

물이 솟아오르는 굴 속에 검룡(이무기)이 살고 있다 해서 ‘검룡소(儉龍沼)’라 이름 붙였다.

 

실제 검룡소는 1억 5천만 년 전 백악기 시대에 형성된 석회암 동굴의 소로써, 하루 2천 여톤 가량의 지하수가

용출되고, 수온은 사계절 항상 같다. 1986년 태백시가 메워진 연못을 복원하고 주변을 정비하였다.

 

한강의 발원지 태백시에는 대한민국 2대 강인 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가 있는데 낙동강의 발원지는 천의봉

 너덜샘이고(용출 지는 황지연못) 한강의 용출지가 바로 이곳 검룡소이다. 이곳에서 발원하는 물은 골지천으로

흐르며, 골지천은 한강의 발원천으로 알려져 있다.

태백 해바라기 축제는 해바라기 문화재단과 구와우마을 축제위원회가 주최·주관하는

순수 민간주도형 축제다. 지난 2013년부터는 강원도의 지원을 받아 꽃 축제뿐만 아니라

구와우 현지에서 생산되는 오가피, 약쑥, 민들레, 냉이, 솔 등 20여 종의 발효액을 소나무

지하 토굴에서 숙성시켜 건강한 먹을거리를 생산하고 있다.

평균 해발 800m에 위치한 구와우마을은 ‘소 아홉 마리가 배불리 먹고 누워있는 모습과 담았다’는

의미에서 유래했으며, 흐드러지게 피어난 해바라기가 장관을 이룬다.

날씨 탓도 있겠지만 구와우 카페와 특산품 판매점은 외부가 완전 검은색으로 

마음까지 무거운 느낌을 준다

조형물의 의미는 알 수 없지만 전선을 감았던 통 같아 보이는데 태백의 발전을 의미하는

예술적 표현이 아닐까 생각을 해본다

이곳 마을을 구와우라고 하는데 아홉 마리의 소가 누워있는 형국이라서 구와우 마을이라

했다고 한다

주차를 하고 먼저 만나는 것이 백일홍이 있는 꽃밭이다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원예식물로 멕시코 원산 꽃은 6~10월에 줄기 끝에서 두상 꽃차례를

이루어 피는데, 자주색, 노란색, 흰색 등 색깔이 다양하며 100일 정도 피므로 백일홍이라 한다

이제 본격적인 해바라기 밭이다

태양처럼 뜨거운 감정을 대변하는 영혼의 꽃

아메리카산 한해살이로서 각지에서 심고 있으며 높이가 2m에 달하고 전체적으로

굳센 털이 났다. 잎은 어긋나며 잎자루가 길고 심장상 난형 또는 타원상 넓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로서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한쪽 켠에는 왕원추리도 존재감을 알리는 듯  집단으로 세를 과시하고 있다

탐방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몇 년 전에 축제 때 찾았던 곳인데 그 때나 별반 차이가 없다

2년 전에는 코로나로 축제가 없어 그냥 지나치기도 했다

꽃은 8~9월에 피며 지름 8~60cm 로서 옆을 향해 달리고, 가장자리의 설상화(꽃잎이 혀 모양의 꽃)는

밝은 황색이며 중성화(암술과 수술이 없는 꽃)이고, 통상화(꽃잎이 서로 달라붙어 통 모양으로 생기고

끝만 조금 갈라진 꽃)는 갈색 또는 황색이며 양성화(암술 수술이 모두 있는 꽃)이고, 총포(꽃대의 끝에서

꽃의 아래 부분을 싸고 있는 비늘모양의 조각)는 반구형이며 파편은 뾰족한 달걀 모양으로서 끝에 길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비슷한 식물로서 하늘바라기는 꽃이 하늘을 바라보고 있고 해바라기에 비해 꽃이 작다.

뚱딴지는 꽃의 크기가 중간 크기이며, 잎은 밑에서는 마주나기, 위에서는 어긋나기이며,

꽃은 하늘을 향하고 지하에 덩이줄기가 있다.

전해지는 이야기

그리스 어느 연못에 바다의 신의 딸 두 자매가 살았다.

그들에게는 해진 후부터 동틀 때까지만 연못 위에서 놀 수 있다는 규율이 있었다.

그러나 그 규율을 지키지 못하고 동이 트고 태양의 신 아폴로가 빛을 발하면서

그 황홀한 빛에 두 자매는 넋을 잃었다. 두 자매는 아폴로의 사랑을 차지하려고

싸우기 시작했다고 한다. 언니는 동생이 규율을 어겼다고 말해 동생이 죄수로 갇혔다.

언니는 아폴로의 사랑을 독차지하려 하였으나 아폴로는 그녀의 마음을 알아챘다.

그녀는 며칠간 아폴로의 사랑을 애원했지만 그 뜻을 이루지 못한 채 발이 땅에 뿌리 박혀

한 포기 꽃으로 변했는데 그 꽃이 바로 해바라기라고 한다.

해바라기 씨는 단백질이 풍부하고 고급 불포화 지방산 많이 들어 있다.

옛 소련에서 기름용으로 특별히 개발한 품종들은 작은 씨가 검은색을 띠고 기름을 50% 정도 함유한다.

해바라기 기름은 세계에서 콩기름과 야자유 다음으로 중요한 식물성 기름이다.

매봉산 쪽에는 아직도 구름이 걷히지 않고 있다

해바라기의 어원은 '꽃이 해를 향해 핀다'라는 뜻의 중국어 향일규(向日葵)에서 유래되었으며, 영어 이름

'sunflower'는 'helios'(태양)와 'anthos'(꽃)의 합성어인 속명 헬리 안투스(Helianthus)를 번역한 것이다.

이 꽃은 현재 페루의 국화[國花]이자 미국 캔자스 주의 주화(州花)이다. 해바라기는 씨에 20~30%의

종자유가 포함되어 있어 이를 식용·비누 원료·도료 원료 등으로 사용한다.

또한 한방에서 구풍제·해열제로도 쓰인다.

자주꽃방망이

중북부지방에 분포하며 산지나 풀밭에서 자란다.

짧은 근경에서 나오는 원줄기는 높이 60~120cm 정도로 곧추 자라고 위에서 약간의 가지가 갈라진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잎자루가 길지만 어긋나는 경 생엽은 위로 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진다.

잎몸은 길이 5~10cm, 너비 1~3cm 정도의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7~8월에 자주색 꽃이 두상으로 모여 달리거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도 몇 개씩 모여 달리며 흰색의

꽃도 있다. 식용, 약용, 관상용으로 심는다. 어린순을 삶아 말려 두고 나물로 한다.

석잠풀

전국의 산과 들, 습기가 있는 곳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땅속줄기는 희고, 길게 옆으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80cm다.

잎은 마주나며, 피침형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작으며, 잎자루도 없다.

 

꽃은 6-8월에 줄기 위쪽의 잎겨드랑이에 6-8개씩 층층이 돌려나며, 연한 자주색을 띤다.

꽃받침은 종 모양, 5갈래로 갈라지고, 갈래는 뾰족하다.

화관은 입술 모양, 윗입술은 원형으로 아랫입술보다 짧고, 아랫입술은 3갈래인데 가운데 갈래가

가장 길며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다. 열매는 소견과 이며,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해바라기는 해를 바라본다 하여 해바라기라 하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아침에 햇볕이 강렬하지 않을 때는 모두 해를 바라보는데 한낮에 햇볕이 강할 때는

해를 등지고 있다 석양에 햇볕이 약해지면 다시 해를 바라본다

마타리

마타리는 마타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키는 60~150cm쯤이고, 잎은 마주나기로 나는데 대체로 긴 타원형이나 깃 모양으로 깊이 갈라진 것도 있다.

뿌리 잎은 모여나기로 난다. 7~8월에 작고 노란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피며 타원형의 열매가 달린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식물의 전체가 약으로 쓰인다. 뚜깔과의 잡종이 생기며, 산이나 들에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 · 중국 · 일본 · 타이완 등지에 분포한다.

꽃창포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이나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화경의 높이는 60~120cm 정도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선형의 잎은 길이 30~60cm, 너비 6~12mm 정도이며 주맥이 뚜렷하다. 6~7월에 개화한다.

적자색의 꽃에는 밑부분에 녹색인 잎집 모양의 포가 2개가 있고 타원형의 꽃잎의 중앙에 황색의

뾰족한 무늬가 있다. 삭과는 갈색이며 뒤쪽에서 터지고 종자는 편평하고 적갈색이다.

‘제비붓꽃’과 달리 잎의 주맥이 뚜렷하고 화피 열 편은 적자색이며 꽃밥은 황색이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한다.

솔나물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갈퀴덩굴 속에 속하는 식물. 전국의 들에 흔히 모여서 자란다.

키는 약 1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길이 2~3㎝, 너비 1.5~3㎜로 선형이고 8~10개씩 마디에 돌려 나며, 잎 가장자리는 매끈하고 뒤로

굽는다. 잎의 뒷면과 줄기, 그리고 꽃차례에 털이 있다. 6~8월에 지름 2.5㎜ 정도의 노란색 꽃이 가지

끝의 잎 겨드랑이에 원추(圓錐) 꽃차례로 핀다. 꽃받침과 꽃잎, 수술은 네 개인데, 꽃받침은 흔적만

남아 있으며 꽃잎은 긴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암술대는 두 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매우 작고 둥글다.

위로 올라가면 전망대도 있고 사진 담기도 좋지만 오늘은 영월로 넘어가야 되기에 

이쯤에서 끝맺음을 하고 내려간다

먹거리 장터와 휴게소 조형물을 바라보며 주차장으로

매봉산 쪽에는 지금 구름이 서서히 걷히고 있는데 다시 오르는 것을 포기하고

영월로 이동을 한다

'서울.경기.강원.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월 장릉  (26) 2022.08.25
영월 김삿갓 유적지  (20) 2022.08.20
구문소와 황지연못  (32) 2022.08.17
철암의 이모저모  (0) 2022.08.17
분천 철암간 v트레인 열차  (18) 2022.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