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장에 살고 계시는 블친님 텃밭에는 광대나물이 많이 피어 있어 사진이 올라오는데
이곳은 아침운동을 하면서 살펴봐도 보이 지를 않아 오후에 잠시 감전동 화훼단지
쪽으로 나갔는데 봄까치꽃은 겨우 한두송이를 만났다 그래도 광대나물은 몇 송이가 보였다(2/3)
봄까치꽃(큰 개불알꽃)
유럽 원산으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난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져서 아래쪽이 비스듬히 자라며, 높이 10-40cm이다.
잎은 아래쪽에서는 마주나지만 위쪽에서는 어긋나며, 난상 원형으로 길이 7-18mm, 폭 6-15mm이고,
가장자리에 끝이 둔한 톱니가 3-5개씩 있다. 잎 양면은 털이 드문드문 난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리며, 하늘색, 지름 7-10mm이다. 꽃자루는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4갈래로 갈라지는데, 아래쪽의 것이 조금 작다. 열매는 삭과다
우리 식물들은 대부분 여러 개의 이름을 갖고 있다. 지방에 따라 부르는 명칭이 다르기 때문인데,
더러 민망한 것도 꽤 많은데 그중 하나가 바로 개불알풀이다. 열매의 모양이 희한하게도 개의 불알을
닮아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게 조금 더 큰 것이 큰 개불알풀이다. 봄소식을 전하는 까치 같다고 해서
‘봄까치꽃’이라고도 부른다는데, 특징을 살펴보면 차라리 큰개불알풀이 낫다 싶다. 그렇지만 서양인들은
꽃이 피었을 때 보이는 수술 2개가 꼭 눈처럼 보이는지 ‘버드 아이(bird‘s eye)’, 바로 ‘새의 눈’이라고 부른다.
또 하나 특이한 별칭으로는 ‘큰 지금’이 있다. 지금에 ‘큰’을 붙였는데, 지금이란 한자로 지금(地錦),
즉 땅 위의 비단이라는 뜻이다. 봄날 이 꽃이 군락을 지어 죽 피어 있는 모습이 정말 비단을 쫙 깔아놓은
듯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밖에도 지금이라는 별칭이 있는 식물로는 담쟁이덩굴과 비단풀이 있다.
큰 개불알풀은 중부 이남의 산과 들에서 흔히 자라는 두해살이풀로, 양지바른 곳이면 어디서나
잘 자라며, 키는 10~20㎝가량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옆으로 뻗거나 비스듬히 서고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잎은 줄기 밑부분에서는 마주나고 윗부분에서는 어긋나며 모양은 삼각형이다. 잎몸에는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는 4~7개의 굵은 톱니가 있다. 야생화 백과사전에서
광대나물
전국의 양지바른 밭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에서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30cm, 자줏빛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아래쪽의 것은 원형으로
잎자루가 길다.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 양쪽에서 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3-5월에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개가 피며, 붉은 보라색이다.
보통 이른 봄에 꽃이 피지만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철인 11-2월에도 꽃을 볼 수 있다. 화관은 통이 길고,
위쪽에서 갈라지며, 아랫입술은 3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소견과 이며, 난형이다.
식용 또는 약용으로 쓰인다.
꿀풀과에 속하는 이 년생 초. 북아메리카와 아시아가 원산지이다.
한대에서 온대지역까지 모두 서식하며, 크기는 약 10~30cm이다.
식재료로 사용할 때에는 어린순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는 것이 보편적이다.
혈관과 혈압 등에 좋은 성분이 들어있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고혈압을 방지하는 효능이 탁월하다.
부기를 가라앉히기 때문에 근육통에도 도움이 되고, 뼈 건강에도 좋아 관절염 등에도 효과가 있다.
식물 전체를 여름에 캐서 피를 토하거나 코피가 날 때 쓰기도 한다. 다음백과에서
오늘 낮 부산날씨는 영상 10도 봄날 같이 따뜻하다 조금 걸었더니 땀도 난다
낙동강 샛강에는 벌써 이렇게 강태공들이 낚싯대를 몇 개씩 드리우고 낚시를 하는데
주말이라 밤샘도 하는 것 같다. 몇몇 사람은 아예 한살림 펴놓고 있다
물이 잔잔하니 비록 나목이지만 반영도 아름답다
낚시도 기다림인데 우리 같이 성질 급한 사람은 저렇게 느긋하게
기다리지를 못한다 그래서 낚시하고는 맞지 않아서 어려서 딱 한 번 해보고
지금까지 해본일이 없다
'부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남공원 해안길 (32) | 2023.02.17 |
---|---|
해운대 달집태우기행사 (34) | 2023.02.07 |
복수초 (38) | 2023.02.02 |
연분홍 매화도 피었습니다 (48) | 2023.01.24 |
봄꽃 납매와 풍년화 (33)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