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산

암남공원 갈멧길 보턴을 누르면 자동으로 나오는 굳세어라 금순아 신라에 달밤이 흘러나온다 멀리서 현인 광장을 담아보고 옛날 거북섬으로가는 출렁다리 모형 해수욕장을 벗어나 갈멧길로 접어들면 이러한 데크시설도 나온다 내내 현무암 위를 걸을 수 있다 바위 채송화도 보이고 아직 피지는 안았지만 해국도 보인다 송도 구름다리와 남항대교도 담아본다 외롭게 혼자서 낚시하는 사람도 보인다 계속 이어지는 바다위의 데크 출렁다리도 건너고 기기묘묘한 바위도 담아보고 지나온길을 다시 담아보는 여유도 부려보고 붉은 바위의 현무암길 울릉도에서도 이런 바위를 보았지 주차장에는 낚시하러 온 사람들의 차로 가득하다 암남공원 주차장 암남공원 초입에 이런 안내판이 있는데 지금 공사중이라서 돌아가는 임시길을 만들어놔서 아쉽게도 돌아내려갔다 왔다 암남공원 초입.. 더보기
송도 해수욕장과 거북바위 부산 송도해수욕장은 1913년에 문을 연 우리나라 제1호 해수욕장으로 개장한지 100년이 넘은 곳입니다. 1960년대 초까지만 해도 깨끗한 모래사장과 물이 맑아서 유명했다고 합니다. 관리 소홀로 한동안 더럽혀져 해수욕장으로써의 명성을 잃다가 2000년부터 5년간의 대대적인 연안정비사업을 통해 다시 새로운 해변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인공폭포는 아직 개장이 안돼서인지 가동을 하고 있지 않네요 분수대가 가동되면 이렇게 아름답다던데 옛 송도 고기배들의 대피소 이젠 초라한 형상만 남았다 송도해수욕장에서 가장 마음 설레게 했던 것이 있습니다. 6월 1일에 개장한 구름다리 산책로입니다. 돛단배 송도호에 승선한 기분으로 바다 위를 걸을 수 있도록 만든 송도해수욕장의 구름산책로 인데요. 이 다리는 우리나라에서 제일 길.. 더보기
봄 맞이가다 서울에사는 고교 친구가 진영에 감리로 내려와 오랬동안 지내고 있다 지난번 내가 찾아가 주남 저수지에서 트래킹하며 하루를 보냈는데 어제 부산에 오겠다하여 오늘 만나 광안리 해변을 걸으며 봄이 왔음을 실감하며 해변을 걷고 횟집에서 점심도 먹고 즐기다 황령산으로 올라 부산 시내를 감상했다 어제는 찬바람이 세차게불어 꽃샘추위가 절정인가 했는데 오늘은 너무나 포근하다 여기저기 봄바다를 즐기는 청춘들이 기지게를 켜는 모습이 아름답다 파도는 잔잔해 작은 포말을 만들고 저기 젊은이들은 뭐가 그리도 좋은지 갖은 폼을 다 잡아보고 일행을 웃기고있다 수영만 매립지의 빌딩들은 서울의 타워 펠리스를 무색하게 만든다 점심먹고 잠시 커피숍에 들려 아메리카노를 놓고 쌓였든 얘기도하고 창밖으로 보이는 해변도 담아본다 해어지기 섭섭해 .. 더보기
복천고분 출토품들 복천 박물관은 사적 제 273호인 복천동고분군의 조사 내용을 종합하여 전시함으로서 시민들에게 지역문화의 우수성과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 고대 부산지역의 가야와 신라 문화을 복원하기 위하여1996년 10월 5일에 개관하였습니다 복천고군분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과 무덤 형태들은 아직 미지의 왕국으로 남아 있는 가야의 신비를 풀어줄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이웃한 일본 고대문화의 원류를 규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굽다리접시. 접시 아래쪽에 다리형태의 긴 굽이 달려 있어 굽다리 접시라 일컫는다 이토기의 내부에서 닭이나 생선 뼈 소라껍데기 등이 확인되는 예도 있어 음식을 공헝한 제사 용기로 볼 수 있다 고리 자루칼 (북천동 11호묘) 망치와 집게 갑옷과투구(복천동38호묘) 투구 목가리개 팔뚝가리개 .. 더보기
옛 무덤과 복천고분 출토품들 옹관 . 더보기
동래 읍성과 복천동 고분군 사직운동장 위에는 금방이라도 한줄기 쏘나기를 퍼부을듯한 날씨 동래읍성 북장대 장산도 지근거리에 저멀리 해운대 신도시와 신선대 앞 바닷가 왼쪽에 금련산 오름쪽에 황령상 그아래 쌍동이건물이 있는 우리동네도 보인다 사직운동장 금정봉 그너머 백양산도 선명히 복천동 고분군과 야외 전시장 충렬사 뒷산과 동장대(빨간점) 동래 읍성길 탐방 안내도 동래읍성 북문 When I Call Your Name - Vince Gill & Patty Loveless 더보기
충렬사 정문에서 바라본 충렬사 송상현 명언비 싸워서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송상현공의 결의와 호국정신을 가장 잘 나타낸 말이다 소나무를 아름답게 가꾸어 보기 좋다 임진왜란때 희생하신 분들의 위폐를 모신 곳 오래된 모과나무 정화 기념사업비 충렬사 정화 기념사업을 기념하여제작한 비로 호국선열의 정신을 이어받아 민족 중흥의 역사적 과업을 이룩하자는 내용을담고 있다 임진왜란 당시의 전황을 보여주는 6폭의 기록화와 천곡수필등 고서 갑옷 치제문등의 유품 102점을 소장 전시하고 있다 여기그림들은 윤보선 대통령때 대통령상을 받은 이의주님이 제자들과 그린 그림이다 이의주님은 부산대 예술대학장 동아대 예술대학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고인이지만 우리 친구의 고숙이기도하시다 살아생전에 몇번 뵈었는데 그림이라도 몇점 부.. 더보기
감천 문화마을2 감천마을의 유래는 이 태극도를 빼놓고는 말할수없다 감천의 옛 유래는 감내다 감은 검에서 온것이며 신이란 뜻이다. 천은 내를 한자로 적은 것이다 다른 유래는 물이 좋아서 감천이라 했다고 한다. 그이전에는 내를적어 감내 또는 감래라고 하였고 다내리 (다대안쪽마을)로 부르기도 하였다. 반달고개는 아미동과 감천동을 연결하는 교통로로서 왕래가 잦았던 고개로 감천2동에서 서구 아미동을 넘어 갈수있으며 천마산과 아미산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태극도는 1918년에 조철재가 증산 사상에 기초하여 세운 종교로서 4천여명의 태극도 신도들이 이 반달고개 주변에 모여 집단촌을 만들었는데 이 태극도 신앙촌이 중심이되어 1958년 현재의 감천 2동이 만들어졌다 연탄은행 기부받은 연탄을 자원봉사자들이 어려운 가정에 배달해 주고있다 .. 더보기
부산 감천 문화마을1 부평동 파월 맹호 기갑연대 동기들 모임이 있는데 딴일을 보고 시간이 조금 남아 가까운 감천 문화 마을에 들려보기로 하고 1호선 토성동역에 내려 6번출구로나와 부산대학병원을 끼고 오른쪽 으로 조금 돌아가면 마을뻐스 정류장 여기에 도착하니 외국관광객과 내국인들이 많이 있다 외국인들은 서양과 중국인으로 보이는 사람이 다수 조금있으니 2-2 마을뻐스도착 탑승하고 아미동과 감천동을 가르는 감천고개에서 하차 옆에 있는 안내소로가 약도를 2천원주고 샀다 감천 문화 마을은 주민 공동체를 통해 주민참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전문가는 마을의 지원을 조사하고 발굴하며 예술가는 마을에 창의력을 불어 넣어 작품을 창작하고 있다 또한 행정의 적극적인 지원이 함께 했었기 때문에 감천.. 더보기
국화 전시장을 돌아보고 시립박물관 뜰로 국화전시장을 돌아보고 시간이 조금 있기에 시립박물관 뜰에있는 문화재를 살펴보았다 바늘꽃 동래부사 이택수의 선정비 1774년 자헌대부 배신기의 처 열부 정부인 성씨 정려비 일제 강점기 1942년 합천군 가회면소재 보물 353호 통일신라시대 북구만덕동 만덕사지 3층석탑 고려초기 (10세기) 더보기
평화공원 국화 전시장 평화공원 국화 전시를 보기위해 유엔묘지에서 하차 유엔묘지 둘러보고 여기로 이동 부산의 많은 공원들 중에 산책하기 좋은 ‘평화공원’과 그 일대를 소개하고자 한다. 평화공원은 유엔기념공원 옆에 조성된 시민공원이다. 인근의 부산문화회관, 부산시립박물관, 대연수목전시원, 허브공원, 유엔조각공원 등과 연계되어 역사문화관광벨트를 형성하고 있다. 이 주위를 천천히 거닐고 있노라면 정말 숲 속에 온 듯 싱그러운 자연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평화공원에서는 푸른 나무 그늘 아래를 걷고 뛰고 페달을 밟으며 다양한 운동을 가족과 즐기며 호흡하는 건강하고도 행복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바로 옆 대연수목전시원의 무궁화화원에서는 다양한 무궁화를 직접 눈으로 보고 느낄 수 있는 배움의 장까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한국의 정서를.. 더보기
부산 유엔공원묘지 평화공원 국화축제장을 가면서 가는길초 유엔묘지에 잠시들려 사진 몇장담고 이동하였다 에플세이지는 처음보는 꽃같다 국내산도 모르는데 외국산은 더더욱 모르는게 당연하지 로즈마리는 가끔보는 꽃인데 지금은 꽃이지고 없다 정문 입구를 지나니 담벽으로 화려한 국화꽃이 진열돼있다 공원이지만 군에서 관리해서 그런지 모든 나무도 꽃도 획일적으로 질서 정연하게 배열돼있다 묘지라기보다 공원이라해야 격에 맞을 정도로 오랫동안 잘 가꾸어 엄숙한 마음이 덜한것 같다 모든나무들이 이발을 한것처럼 군대식으로 정리정돈이 잘돼있다 자연스러운 모습은 찾아볼 수 없고 원형 아니면 사각으로 제단해놨다 묘지중간 잔디밭에 덩그러니 서있는 소나무가 쓸쓸해보여 한컷 후방에서 전사한 한국군들의 묘지 저너머 건물이 동명대학과 보이지는 안지만 동명 불원이.. 더보기